
여성의 고위직 승진을 가로막는 ‘유리천장’이 공직사회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공무원단 100명 중 여성은 13명에 불과했으며, 일부 부처는 여성 고위공무원이 단 한 명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권향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사혁신처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정부 부처 고위공무원단의 여성 비율은 평균 12.9%였다. 전체 고위공무원단 1554명 중 여성은 201명에 그친 것이다.
특히 경제부처의 성비 불균형은 더욱 두드러졌다. 기획재정부 고위공무원단 61명 가운데 여성은 3명(4.9%)뿐이었으며, 산업통상자원부(현 산업통상부) 역시 52명 중 여성은 3명(5.8%)에 불과했다.
여성 고위공무원이 한 명뿐인 부처도 적지 않았다. 해양수산부는 41명 중 단 1명(2.4%)이 여성으로 집계됐고, 국세청도 39명 중 1명(2.6%)에 그쳤다. 중소벤처기업부 역시 24명 중 1명(4.2%)에 불과했다.
반면 농림축산식품부는 29명 중 4명(13.8%)이 여성으로 평균을 웃돌았다. 고용노동부(10.9%), 공정거래위원회(12.5%)도 10%대를 기록했다.
본부 과장급 임용 현황에서도 격차는 이어졌다. 전체 1949명 중 여성은 601명으로, 비율은 30.8%에 불과했다. 통계청(현 국가데이터처)의 여성 과장 비율은 55.3%로 절반 이상이었으나, 국세청(24.4%), 공정위(26.2%), 기재부(21.2%) 등은 5명 중 1명꼴에 머물렀다. 산업부(15.7%), 중기부(15.9%), 해수부(16.3%) 등은 더욱 낮았고, 특허청(현 지식재산처)은 8.8%로 가장 저조했다.
한 여성 사무관은 “공직에 오래 남고 싶지만 여성 고위직 선배가 많지 않아 고민이 된다”며 “정부 부처가 기업보다 인사가 공정하다고는 하지만, 고위공무원단 성비를 보면 정말 공정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 같은 구조적 성차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균형인사 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유승주 인사혁신처 인사혁신국장은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직 내 인적 다양성 확보는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인재가 차별 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포용적 공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균형인사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