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별장 향하는 5대 그룹 총수…한·미 '윈윈' 퍼즐 맞출까

  • '트럼프 별장' 마러라고 리조트 방문

  • 트럼프 회동 가능성… 韓산업계 입장 대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부터과 최태원 SK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회장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년 경제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5010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부터)과 최태원 SK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회장이 1월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년 경제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5.01.0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알려진 마러라고 리조트로 향한다. 골프 회동에 참가하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접촉 가능성도 제기돼 한국 산업의 최대 위협 요인인 미국 관세 리스크 관련 매듭을 지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초청을 받아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위치한 마러라고 리조트를 방문할 예정이다.

최태원 회장과 김동관 부회장은 이날, 구광모 회장은 17일 미국으로 출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경제대화(TED) 참석차 일본에 방문 중인 이재용 회장과 정의선 회장도 조만간 합류할 예정이다.

총수들의 방미는 미국 전역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구축 등 5000억 달러(700조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손정의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이번 마러라고 회동은 트럼프 대통령과 친분이 깊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골프 선수 개리 플레이어의 90세 생일을 맞아 손 회장이 기획한 것으로 전해진다.

외신 등에 따르면 전 세계 70여개 기업 총수나 최고경영자(CEO)가 행사에 참여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도 대미 투자를 독려하기 위해 17∼19일 마러라고를 찾아 기업인들과 골프 회동에 나선다.

국내 기업 총수들과 트럼프 대통령 간 만남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앞서 한·미 간 관세 후속 협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기업인들이 또 한번 정부 지원 사격에 나서는 셈이다. 

지난 7월에도 한·미 정부가 3500억 달러(약 500조원) 규모 투자 계획에 합의할 때 한국 간판 기업인들이 직접 미국으로 건너가 힘을 보탠 바 있다. 다만 이후 후속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국내 기업들은 여전히 고율 관세에 허덕이는 중이다. 특히 직격탄을 맞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25% 관세율이 유지될 경우 관세 비용으로만 연간 8조4000억원을 지출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한·미 관세 협상은 진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미국 출국에 앞서 "이전에는 미국 내 관련 부서들이 긴밀하게 소통하는 인상은 보이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미국도 재무부와 무역대표부(USTR), 상무부가 서로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재계 관계자는 "총수들의 이번 방미가 단순한 교류를 넘어 미국 행정부 및 의회 내 우호 여론을 조성하고 신뢰 채널을 공고히 함으로써 향후 관세 협의 과정에서 한국 산업계의 입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