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국표원, 24일까지 ISO TC67 총회…신규 표준안 4건 제안

산업통상부 사진아주경제DB
산업통상부. [사진=아주경제DB]
차세대 해양플랜트 산업의 핵심 기술을 반영한 국제표준이 한국 주도로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오는 24일까지 경남 거제시에서 열리는 '해양플랜트 국제표준화기구(ISO TC67) 총회'에서 신규 표준안 4종을 제안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총회는 1947년 ISO TC67 창립 이후 처음으로 한국에서 개최되는 것이다. 회의에서는 16개 회원국의 전문가 약 100명이 참석해 오일·가스 및 신재생 에너지 플랜트 분야의 국제표준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총회에서 삼성중공업 등 국내 기업들은 해양플랜트의 무인화·친환경화를 위한 위한 주요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 한국은 무인 해양플랜트의 특성을 반영한 '안전표지 및 비상탈출로 표시 요건'과 암모니아·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 배관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에어로겔 단열 시공 기준'을 제안한다.

또 해양환경에 적합한 배관 및 구조용 볼트·너트 소재 규격을 표준화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한다. 플랜트용 도장(코팅) 재료의 성능·시험 기준을 통해 부식 방지와 장기 내구성을 높이는 방안도 제시한다.

이와 함께 국내 해양플랜트 최신 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세미나와 삼성중공업 선박·해양플랜트 생산 시설 견학 기회를 제공해 국내 해양플랜트 기술을 각국 전문가들에게 홍보한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이번 ISO TC67 총회는 우리나라가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국제표준화를 주도할 중요한 계기"라며 "무인플랜트와 신재생 해양에너지 등 차세대 기술 중심으로 국제협력을 확대하고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