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5일 이 전 차관의 면직안을 재가했다. 이 전 차관이 사의를 표명한 지 하루 만이다.
이 대통령의 '부동산 책사'로 불린 이 전 차관은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지난 19일 한 유튜브 채널에 나와 "지금 (집을) 사려고 하니까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라며 "시장이 안정화돼 집값이 떨어지면 그때 사면 된다"고 말했다.
이후 이 전 차관의 배우자가 경기 성남 분당구 30억 원대 아파트를 갭투자로 구매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은 더욱 악화됐다. 이 차관의 배우자는 지난해 7월 경기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아파트를 33억 5000만원에 계약하고, 그해 10월 14억 8000만원에 전세계약을 한 사실이 드러나 갭투자라는 비판을 받았다.
국민의힘은 이 전 차관이 "직(職)보다 집을 택했다"며 정부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국민이 분노한 것은 차관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이재명 정권의 위선과 불공정한 부동산 정책"이라며 이 대통령을 향해 10·15 대책 철회와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구윤철 경제부총리,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내로남불 부동산 3인방'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즉각 해임하라고 주장했다.
주진우 의원도 페이스북에 "공직자들이 집값은 안 잡고 서민을 잡는다"며 이재명 정권 인사들을 향해 "언제든 집을 위해서라면 직을 던질 수 있는 기개를 가진 분들"이라고 직격했다. 주 의원은 전날에도 페이스북에 "이 차관은 끝내 직보다 집을 택했다"며 "집은 절대 팔면 안 된다는 이재명 정부의 메시지"라고 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규제를 내놓으며 고위 공직자들에게 1주택 외 나머지 주택 매각을 권고했다. 하지만 상당수는 매각을 미루거나 끝내 처분하지 않았다. 당시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과 김조원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다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직을 내려놓은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