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을 통해 일상 생활 속에서 대화하듯이 오픈AI의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챗GPT의 사용성과 성능은 유지하면서,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한층 높아졌다.
카카오는 28일 카카오톡에서 챗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했다. 채팅탭 상단에 위치한 챗GPT 버튼을 클릭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간단한 질문부터 복잡한 요청까지 카톡 내에서 대화하듯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채팅방에서 대화 중 챗GPT에 손쉽게 질문하고 답변을 채팅방에 공유할 수 있다.
챗GPT 이용자들은 기존 계정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규 이용자는 카카오 계정으로 챗GPT 에 가입하면 된다. 별도 가입이나 로그인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무료 이용자의 챗GPT 사용 한도 제한은 그대로 적용된다.
'챗GPT 포 카카오'의 차별적 강점은 접근성이다. 5000만 카톡 이용자들이 챗GPT를 자연스레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유용하 카카오 AI 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챗GPT는 주로 업무용이나 전문적인 상황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카톡 이용자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바로 쓸 수 있는, 전 국민이 접근하기 쉬운 구조인 만큼 일상 생활 속에서 챗GPT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양한 외부 앱과의 연동성도 차별화 포인트다. 현재 카카오맵·카카오톡 예약하기·선물하기·멜론 등을 챗GPT와 연계해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 요청에 따라 관련 서비스를 자동 연결해 가장 적절한 답을 제공한다. 이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되는 AI에이전트 '카카오 툴즈'를 통해 가능하다.
일례로 "합정역 근처에 크로플 파는 곳을 알려줘"라고 질문하면 카카오 툴즈가 카카오맵을 호출해 구체적인 위치와 정보를 제공하는 식이다. 카카오와 카카오 그룹 내 서비스를 우선 반영한 뒤 추후 외부 서비스와의 연계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카카오의 자체 AI 모델 카나나 나노 기반의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내년 1분기 정식 출시한다. 지난 16일부터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톡 안에서 AI가 대화를 이해하고, 이용자의 상황과 맥락을 파악해 필요한 순간 먼저 메시지를 보내주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정보 검색, 장소 및 상품 추천 등 다양한 활동을 제안하고, 매일 '선톡 브리핑'을 제공해 놓치기 쉬운 일정도 챙길 수 있도록 돕는다.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 '카나나 나노'는 한국어 벤치마크에서 글로벌 모델을 압도하는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경량화를 통해 같은 모델에서 크기를 73% 줄였고, 하루 배터리 소모량도 0.5% 미만(하루 50회 추론 기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량화된 모델로 기기 내에서 동작 가능해 높은 수준의 프라이버시 안전성도 확보했다.
AI 브리핑 대상과 답변을 제공하는 에이전트도 점차 확장할 계획이다. 카카오톡 대화 중 이벤트는 물론, 톡캘린더, 생일알림 등을 추가하고, 외부 파트너와도 협력해 이용자가 받아볼 수 있는 콘텐츠를 확대한다.
강지훈 카카오 AI 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기존의 AI 서비스와는 달리, 필요한 순간 먼저 말을 걸어주는 AI라는 차이점이 있다"면서 "일상 속 대화 맥락 속에서 이용의 편의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