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이 엔비디아와 국내 피지컬 인공지능(AI) 혁신 생태계 조성에 협력한다.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을 위한 기존 파트너십을 넘어 첨단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인프라 조성, 핵심 피지컬 AI 기술 공동 개발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협력을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동맹 강화를 통해 "AI 기반 모빌리티의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창립자)도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 구현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모빌리티 시장을 개척하겠다"고 말했다.
◆5만장 블랙웰 GPU 활용...AI 모빌리티 실증화
현대자동차그룹과 엔비디아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개최되는 APEC 현장에서 차세대 AI칩 '엔비디아 블랙웰(NVIDIA Blackwell)' 기반의 새로운 AI 팩토리도입을 통해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 혁신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모빌리티 솔루션,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 온디바이스 반도체 혁신을 위한 AI 역량을 함께 높이고 미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5만 장의 블랙웰 GPU를 활용해 통합 AI 모델 개발, 검증,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의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지원한 생태계 조성에도 협력키로 했다. 이는 약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수반한다.
핵심 추진사항은 △엔비디아 AI 기술 센터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 센터 △데이터센터 설립 등이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 기술진 간의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국내 차세대 피지컬 AI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협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현대차그룹-엔비디아는 이날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한국이 AI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피지컬 AI 진흥은 꼭 필요한 부분"이라며 "과기정통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피지컬 AI 육성을 위해 민·관 협력의 첫 단계를 이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제조업에 큰 강점이 있는 나라로 한국의 풍부한 제조 데이터와 엔비디아의 최신 AI 인프라가 만나 국내기업들과 상생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산업 전반의 제조 AX 혁신을 가속화하는 윈-윈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는 AI 기반 모빌리티와 스마트 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도약"이라며 "양사는 첨단 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공동 구축해 혁신을 가속화하고 인재 육성과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까지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는 모든 산업의 모든 측면을 혁신할 것"이라며 "운송 분야만 보더라도 차량 설계 및 제조부터 로보틱스,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엔비디아의 AI와 컴퓨팅 플랫폼은 세상이 움직이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대표 산업의 중심 기업이자 세계 최고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 중 하나인 현대차그룹과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구현, 향후 수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모빌리티 산업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엔비디아, 차량과 공장을 AI로 연결...글로벌 기준 만들 것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를 바탕으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해 혁신의 모든 단계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차량 내 AI, 자율주행, 생산 효율화, 로보틱스를 지능적이고 상호 연결된 단일 생태계로 통합한다.
현대차그룹은 피지컬 AI와 로보틱스를 위한 인프라 역할을 하는 세 가지 AI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고, 무한한 주행 시나리오에서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고 검증하는 절차다. AI 브레인 역할을 하는 다양한 컴퓨팅 플랫폼은 AI 팩토리와 자동차 공장의 근간을 이루며, 모빌리티 산업이 첨단 피지컬 AI를 대규모로 개발, 검증,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Omniverse Enterprise) 플랫폼을 활용해 강력한 공장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디지털 트윈은 공장 환경을 가상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하고 다룰 수 있도록 한 3차원 모델이다.
정밀한 디지털 환경은 로봇 통합을 가속화하고 생산 효율을 최적화한다. 또 예지보전(향후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예상하고 적절하게 보수을 지원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는 완전 자율형·소프트웨어 중심 공장은 자동차 설계와 제조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는 '엔비디아 아이작 심™(Isaac Sim™)'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휴머노이드와 로보틱스 시스템으로 확장된다. 이를 통해 실제 생산 라인에 로봇을 배치하기 전에 가상 환경에서 작업 할당, 동작 계획, 인체공학적 안전성 등을 검증할 수 있으며, 로봇 통합 속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옴니버스와 코스모스 플랫폼을 활용해 지역별 주행 환경과 조건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광범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개발 과정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시험 중이다. 또 개방형 AI 추론모델 등을 활용한 첨단 AI 모델을 개발해 차량 성능을 OTA(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식으로 지속 개선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첨단 모델을 활용한 개인화된 디지털 어시스턴트, 지능형 인포테인먼트 등 혁신적인 차량 내 AI 기능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진화하는 지능형 차량을 개발하겠다"면서 "엔비디아와 함께 차량과 공장을 지능형 생태계로 연결해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