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10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집합건물(아파트·연립 및 다세대주택·오피스텔 등)을 매수해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친 외국인은 56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2월(427명)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올해 수도권에서 집합건물을 매수한 외국인은 지난 1월(606명)부터 8월(1051명)까지 7개월 연속으로 증가했다. 그러다 9월 976명을 기록하며 하락 전환했고 10월에도 내림세를 이어갔다.
앞서 정부는 8월 26일부터 외국인이 실거주 목적이 아니면 주택을 매입할 수 없도록 서울 전역과 경기·인천 주요 지역을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묶은 6·27 대책 발표 이후 주택 매수에 타격을 입은 내국인과 달리 외국인들은 이에 구애받지 않아 역차별 논란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외국인 주택 거래에 대한 상시·기획 조사도 강화됐다. 국내에서 보유하던 주택을 처분해 얻은 양도차익과 관련해 해외 과세 당국의 세금 추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는 거래는 국세청에 통보된다.
지역별로 보면 9월 대비 지난달 외국인의 매수세는 서울이 174명에서 133명으로, 경기가 540명에서 288명으로, 인천이 262명에서 139명으로 각각 줄었다.
지난달 수도권에서 집합건물을 매수한 외국인은 국적별로 중국인이 43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미국인(133명), 캐나다인(33명) 등 순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