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8월까지 누적수익률 8.22% '양호'…국내주식 36% 급등 덕
국민연금이 올해 8월 말까지 8.22%의 잠정 누적 수익률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운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3년 평균 수익률(6.98%)과 1988년 기금 설립 이후 연평균 수익률(6.82%)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으로, 글로벌 시장 변동성 속에서도 견조한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된다.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이번 실적의 핵심 동력은 국내주식이었다. 올해 8월 말 기준 자산별 수익률을 보면 국내주식이 36.4%의 ‘잭팟’ 수준 성과를 기록하며 전체 수익률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해외주식도 8.61%의 수익률로 힘을 보탰다.
눈에 띄는 점은 최근 기금운용본부 인력 유출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운용팀의 전략적 대응력이 여전히 유효함을 성과로 입증했다는 것이다.
하정우 AI수석 "엔비디아, 한국을 시작점으로 피지컬 AI 전환 추진…양측 모두 윈윈할 것"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3일 엔비디아의 대규모 GPU(그래픽처리장치) 공급 결정과 관련해 “엔비디아가 한국을 시작점으로 해 피지컬 AI(인공지능) 산업 전환을 추진할 것”이라며 양측 모두에 도움이 되는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하 수석은 이날 JTBC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엔비디아가 재작년부터 피지컬 AI 분야를 준비해왔다. 투자 수익을 뽑아내야 하는데 한국이 너무 좋은 성공 케이스가 될 수 있겠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 "추경호, 尹에게서 '협조요청' 받고 의총장소 변경…의도적 표결 방해" 판단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은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후 군·경 지휘부와 통화하는 과정에서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게도 연락을 취해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해 청구한 구속영장에서 밝혔다.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의도적으로 긴급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표결 참여를 방해함으로써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행위에 공모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작년 12월 3일 밤 10시 27분 계엄을 선포한 뒤 10시 53분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전화를 걸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 이후 오후 11시 22분 추 전 원내대표와 1∼2분간 통화했으며, 이는 계엄사령부 포고령(1호) 발표 시점과 겹친다.
특검팀은 포고령이 선포된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이 추 전 원내대표에게 직접 여당 차원의 협조를 구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중국, 한국·일본 등 무비자 조치 내년 말까지 연장
중국이 현재 시행 중인 한국·일본 등 45개국 대상 무비자 조치를 내년 12월 31일까지 연장한다고 3일 밝혔다. 스웨덴도 새롭게 무비자 국가에 포함됐다.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프랑스·독일·이탈리아·네덜란드·스페인 등 유럽 32개국과 한국·일본·사우디아라비아·오만·쿠웨이트·바레인 등 아시아 6개국, 호주·뉴질랜드 등 오세아니아 2개국, 브라질·아르헨티나·칠레·페루·우루과이 등 중남미 5개국 국민은 30일 이내 비즈니스, 관광, 친지·친구 방문, 교류 방문, 경유 등 목적으로 중국을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다.
中, 핵추진 잠수함 도입에 "비확산 의무 준수" 원칙 재확인
1일 경주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국은 핵추진 잠수함 도입이 ‘자주적 역량 확보’ 차원임을 강조했고, 중국은 ‘비확산 의무 준수’라는 원칙적 입장을 거듭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3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회담 자리에서 핵추진 잠수함은 특정 국가를 겨냥한 조치가 아니라 '자주국방과 자율성 확보를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중국 측은 자국 외교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며 신중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이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추진 잠수함 건조 허용을 요청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승인하자 '한미 양국이 핵 비확산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고 지역 평화·안정을 촉진하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