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내년 휠체어용 PBV 출시… "전동화 WAV 리더십 확보"

  • 英 모타빌리티와 PBV 보급확대 MOU

  • 화성 EVO 플랜트서 PV5 WAV 생산

왼쪽부터 앤드류 밀러 모타빌리티 CEO와 송호성 기아 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기아
(왼쪽부터) 앤드류 밀러 모타빌리티 CEO와 송호성 기아 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기아]
기아는 지난 3일 영국 최대 규모의 장애인 대상 리스 차량 운영사 '모타빌리티'와 영국 내 목적기반차량(PBV) 보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모타빌리티는 약 86만명의 고객과 약 3만5000대의 휠체어용 차량(WAV) 및 약 9만4000대의 EV 등을 보유 중이다. 이와 함께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전기차 콘셉트 모델 'eVITA'를 개발하는 등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사가 이동약자의 접근성을 높인 디자인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PV5 WAV 등 기아의 다양한 PBV 라인업을 활용해 이동약자용 모빌리티의 전동화 전환 요구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데 뜻을 모아 이뤄졌다.

PV5 WAV에는 △휠체어 탑승자뿐 아니라 가족, 간병인, 운전자 등 모든 이용자에게 친화적인 유니버설 디자인 콘셉트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측면 승하차 방식 △휠체어 벨트 고정 시스템, 3열 팁업 시트 등 보호자가 동승해 휠체어 탑승자를 보조할 수 있는 기능 △넓은 실내 공간 및 휠체어를 접어 트렁크에 보관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됐다.

PV5 WAV는 PV5를 양산 중인 PBV 전용공장 '화성 EVO 플랜트'에서 생산될 예정으로,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여 지속가능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는 PV5 WAV 모델을 시장에 선보임으로써 전동화 시대에 포용적 이동성을 실현하는 첫 걸음을 내딛을 예정이다. 모타빌리티에 PV5 기본형 및 PV5 WAV 모델을 공급하고, 모타빌리티는 오는 2026년부터 영국 현지에서 해당 차량들을 활용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또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기아는 전동화 WAV 개발 리더십을 확보하고, 모타빌리티는 중·장기적 전동화 전환 목표 설정 및 추가적인 고객 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업 과정에서 양사는 PBV 라인업별 WAV 개발 협력을 진행해나갈 예정이며, 그 외에도 △고객의 충전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스마트 충전 솔루션 개발 및 △V2H(전기차를 가정의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기술), V2G(전기차와 전력망을 연결해 전력을 양방향으로 주고받는 기술) 등 차세대 에너지 관리 기술 분야에서도 협업을 이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도 양사는 WAV 시장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해 향후 출시 예정인 기아의 대형 PBV 'PV7'의 WAV 컨버전 모델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PV5 WAV는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향상과 편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아 PBV 기술의 잠재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번 모타빌리티와의 MOU 체결은 모두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미래를 선도하겠다는 기아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앤드류 밀러 모타빌리티 최고경영자(CEO)는 "모타빌리티의 'eVITA 콘셉트'는 포용적 디자인이 차량 제작 초기부터 반영될 때 얼마나 효과적인지 보여줬으며, 이번 기아와의 MOU는 그 비전을 현실로 만드는 중요한 단계"라며 "이번 협력은 업계 최초의 차량 측면 승하차 방식의 WAV 전동화 모델 개발과 관련한 모타빌리티의 장기적인 전동화 및 환경 목표를 진전시키는 동시에, 혁신적인 WAV를 필요로 하는 리스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