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참의원 본회의에 출석해 "다양한 조달 수단을 확보하는 것은 일미 모두에 중요하다"며 "구체적인 협력 진행 방식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 1월 수심 6000m 해저에서 희토류를 포함한 진흙을 퍼올리는 실증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달 28일 도쿄에서 방일 중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미·일 핵심광물 및 희토류 공급망 강화 프레임워크’에 서명했다. 양국은 핵심광물과 희토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금융 지원, 무역 조치, 비축 제도 등 정책 수단을 공동 활용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채굴과 정제 부문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보조금·보증·대출·지분 투자 등을 통해 정부와 민간의 자본 및 운영비를 동원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당시 도쿄대 연구진 등의 분석에 따르면, 이 지역의 희토류 매장량은 약 680만t(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일본의 연간 희토류 소비량이 약 2만t 수준임을 고려하면, 국내 수요를 장기간 충당할 수 있는 규모다.
당초 일본 정부는 올해 1~3월 중 시굴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해저 진흙을 채취하는 장비 조달이 지연되면서 계획이 약 1년 뒤로 미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