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가 9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중간재 교역 비중은 수출이 67.6%, 수입은 50.5%로 미국 등 G7 국가와 비교해 가장 높았다.
G7 중간재의 수출 비중은 영국 57.1%, 미국 53.6%, 일본 53.5% 수입은 독일 48.9%, 이탈리아 47.4%, 프랑스 46.7%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2019~2024년) 동안 한국의 중간재 수출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폭으로 늘었고, 수입은 미국·이탈리아 다음으로 세 번째로 증가했다.
한국의 중간재 주요 수출 국가는 중국(23.7%)과 미국(14.2%)이었다. 다만, 중국 비중은 28.2%에서 23.7%로 4.6%포인트 줄어든 반면, 미국은 10.6%에서 14.2%로 3.6%포인트 늘었다.
이 기간 한국의 중간재 수출 국가집중도는 1164포인트에서 1007포인트로 156포인트 하락했다. 수입 국가 집중도도 23포인트 하락(1,149p→1,126p)하며 교역 대상국이 다변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중간재 수입 국가별 비중은 중국(27.7%), 일본(10.1%), 미국(9.7%)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쏠림이 두드러졌다. 주요 수출 품목 비중은 메모리(D램·HBM 등) 15.6%, 프로세서·컨트롤러(CPU·AP 등) 7.8%, 석유제품 7.5%로 집계됐다.
이 중 메모리 수출 비중은 5년 전보다 1.7%포인트, 프로세서·컨트롤러는 2.4%포인트 상승했다. 수입에선 프로세서·컨트롤러가 10.2%, 천연가스 9.2%, 메모리 6.3%로 나타났다. 반도체 관련 품목이 수출입 상위권을 차지한 것이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고, 특히 최종재보다 중간재 교역에 더 크게 의존하고 있다"며 "다른 국가의 핵심 소재ㆍ부품 수출 통제나 제3국 간 무역 분쟁 발생 시 주요 선진국에 비해 우리가 생산 차질을 겪을 위험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