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경로당 무상급식 전면 확대…"지역 상생 복지 모델로"

  • 고향사랑기금 활용해 50개소 운영…로컬푸드 기반 균형식 제공

  • 초고령사회 대응 '다-돌봄' 체계 강화

경로당 무상급식 시범사업 배달 밀키트사진청양군
경로당 무상급식 시범사업 배달 밀키트[사진=청양군]


충남 청양군이 지역 어르신의 식생활 안전망을 강화하고 공동체 기반 돌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경로당 무상급식’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농촌 지역에서 주민 기부금과 로컬푸드를 연계한 상생형 복지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청양군은 지난 6월 10개 경로당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 데 이어, 오는 18일부터 고향사랑기금을 활용해 이용자 20인 미만 경로당 50개소로 사업을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시범사업에서 어르신 만족도와 공동체 회복 효과가 확인되면서 본격 확대가 결정됐다.

이번 사업은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인 ‘동네 어르신 함께 한끼’로 모금된 5200만 원으로 추진된다.


군은 "출향민의 정성이 지역 어르신 복지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지역 상생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은 주 1회 반조리·완조리 밑반찬(1식 4찬) 제공 방식으로 운영되며, 고령화로 조리 인력이 부족한 경로당의 현실을 반영했다. 고단백·저염식으로 구성된 반찬은 청양산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마련해 영양 균형과 지역 농가 소득 제고를 동시에 도모한다.

청양군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해 경로당을 지역 커뮤니티 중심지로 육성해왔다. 2020년 도입한 ‘경로당 공공급식사업’은 현재 90개소에서 시행 중이며, 올해 150개소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업 역시 지역활성화재단과 연계해 로컬푸드 소비 확대와 농가소득 향상을 견인하고 있다.

김돈곤 청양군수는 “경로당 무상급식 지원은 단순한 식사 제공이 아니라 지역이 함께 돌보는 공동체 복지 모델”이라며 “현장 의견을 반영해 급식 품질을 높이고 경로당 활성화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농촌협약을 기반으로 공적 돌봄을 보완하는 ‘청양형 다-돌봄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먹거리 △생활 △가족 △건강 △마을 △이동 돌봄 등 생애주기 및 삶의 현장별 맞춤형 돌봄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촘촘한 지역 돌봄 네트워크를 완성해간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