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300인 미만 제조·건설·서비스업 기업 31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년 외국인 근로자 활용 현황 및 정책 인식 조사'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올해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45.2%로 가장 높았다. 올해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43.6%로 뒤를 이었다.
정부는 올해 외국인 근로자(E-9) 13만명을 유입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를 2020년 5만6000명에서 지난해 16만5000명으로 확대됐다 올해 소폭 줄였다.
경영계에선 산업 현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필수 인력으로 자리 잡았다고 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46%)과 건설업(48%)은 '올해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서비스업은 '현 수준 유지'가 52.8%로 가장 많았다.
기업들이 겪는 애로사항은 실무와 제도 영역으로 갈렸다. 실무에선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라는 응답이 50.3%로 가장 컸다. 직접인건비(32.7%), 간접인건비(31.1%) 부담도 상당했다.
제도적 애로사항에선 응답 기업의 47.4%가 '짧은 체류 허용 기간'이라 답변했다. 그 외 복잡한 채용 절차(36.9%), 잦은 제도 변화(26.9%) 등이 집계됐다.
가장 필요한 외국인 정책과제는 경기 상황에 맞춘 유연하고 신속한 인력 공급이 46.2%로 1순위에 꼽혔다. 시장 상황에 맞게 외국인 근로자 유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외국인력 없이는 공장 가동이 어렵다는 중소기업도 있을 정도로 외국인 근로자는 이미 현장의 필수 인력"이라며 "중소기업의 인력난 완화는 물론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는 유연한 외국 인력 공급 체계로 전환해야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