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고객사에 모빌리티 신기술 50개 공개

  • '테크 브릿지' 열고 연구개발 성과 공유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된 Tech Bridge 2025에서 50개 전동화·모듈 신기술 전시 현장과 첨단 기술을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 사진현대모비스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된 'Tech Bridge 2025'에서 50개 전동화·모듈 신기술 전시 현장과 첨단 기술을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올해 개발한 모빌리티 신기술 50개를 고객사와 협력사에 공개했다. 전동화와 모듈사업 부문에서 대표적인 연구성과들을 선정했고, 앞으로 이들을 융합한 통합 설계기술도 지속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전동화연구소에서 '기술을 잇고, 주행을 만나다'를 주제로 '테크 브릿지 2025'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완성차 고객사와 부품 협력사를 현대모비스의 기술로 연결한다는 취지다.

이 행사는 전동화와 모듈부문을 통합한 양산용 신기술 연구개발 성과 공유회다. 그 동안 각 부문별로 이 같은 전시회를 운영해오다 올해 처음으로 공동 개최했다. 대형부품인 모듈 기술과 전기차 핵심부품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전동화 부문의 시너지를 통해 수주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전시회에서 현대모비스는 배터리와 구동부품 등 전동화 분야에서 28개, 섀시모듈과 운전석(칵핏)·실내 조명·외장 등 모듈부문에서 총 22개의 신기술을 선보였다.

올해 현대모비스 전동화부문의 우수 연구개발 사례로는 도심형 소형 전기차에 특화된 120㎾급 PE(Power Electric)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모터와 인버터, 감속기를 통합한 구동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중형과 대형 전기차에 이어 전기차 전 차종을 아우르는 구동시스템 라인업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에 개발한 소형 PE시스템은 도심형 운송차량에 특화시킨 것이 특징이다. 부피는 축소하고 더 많은 적재가 가능하도록 부품의 높이는 낮춘 저상형 구조로 설계했다.

전기차의 충전속도를 2배가량 높인 신기술도 선보였다. 차세대 22㎾급 통합충전제어장치(ICCU)는 고속 충전 시에도 배터리의 전압과 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충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속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섀시 모듈에서는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저상화 기술이 눈길을 끌었다. 특히 기능 통합 저상화 섀시 모듈의 경우 기존 스틸 코일 스프링과 유압 쇽옵쇼버를 복합재를 활용한 판스프링과 전동 로터리형 댐퍼로 교체해 경량화와 주행 감성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개발하며 총 5건의 특허도 출원했다.

이외에도 칵핏 모듈 분야에서는 차량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저전력 LED 기반 실내 무드 조명 제어기와 3D 프린터와 유사하게 금속을 용접 적층해 금형을 만드는 WAAM(Wire Arc Additive Manufacturing) 기반 사출 금형 기술 등 모듈 제조 상품성 및 제조 경쟁력 향상 요소 기술도 소개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가 선정한 글로벌 100대 부품사에서 지난 3년간 6위를 달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