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19일 "미국 공장을 인수한 즉시 7000억원을 들여 추가 증설을 추진하고, 4조원을 투입해 국내 생산시설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서정진 회장은 이날 오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인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공장 인수 현황을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셀트리온은 공장 인수를 연내 마무리하고 완료 즉시 생산 능력(캐파) 확장을 추진해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현재 캐파로도 미국에서 판매할 제품 물량 생산이 가능하지만 릴리 측 위탁생산(CMO) 물량과 신규 제품 수요에 대응하려면 증설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인수 직후 5년간 최대 7000억원을 들여 브랜치버그 공장에 총 6만6000ℓ 규모의 배양기를 추가 도입한다. 증설은 두 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3년에 걸쳐 1만1000ℓ 배양기 3기를 추가하고, 이후 미국 시장 수요를 고려해 1만1000ℓ짜리 3기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증설이 완료되면 미국 공장은 총 13만2000ℓ 생산 능력을 갖춘다.
새롭게 셀트리온 간판을 단 미국 공장은 내년 초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가동과 함께 무관세 기업 인증 확보에도 나선다. 서 회장은 "미국 공장 인수로 미국 정부의 약값 인하 압박·관세 리스크에서 완전히 벗어났다"며 "내년 1월 현지에서 인수를 알리는 행사를 열고, 미국 정부의 무관세 기업으로 공식 인정받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생산시설 추가에도 4조원을 투입하는 등 속도를 낸다. 송도 캠퍼스에는 현재 건립 중인 액상 완제의약품(DP) 공장 외에 원료의약품(DS) 생산시설을 도입한다. 아울러 충남 예산에 완제의약품, 충북 오창엔 사전충전형 주사기(PFS) 공장을 각각 짓는다.
주력 성장 동력인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 개발 계획도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해외 허가를 확보한 11개 제품을 포함해 2038년까지 총 41개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2030년까지 △키트루다(흑색종) △코센틱스(건선) △오크레부스(다발성경화증) △다잘렉스(다발성골수종) 등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 7개를 추가한다. 이어 2038년까지 매년 2~3개 신제품을 선보인다.
비만 치료제 개발에도 힘을 준다. 최근 제약사들이 개발에 나선 비만약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을 포함한 2중·3중 작용제가 주류인데, 셀트리온은 4중 작용제 방식의 치료제를 내놓아 차별화할 계획이다.
미국 공장 확보와 국내외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한 실적 개선도 자신했다. 서 회장은 "올해 4분기 영업이익률은 40%대를 넘어서며 분할 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경쟁할 만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