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 미세조류의 바이오소재 생산성 향상'

  • 배양 환경 최적화로 생체량・지방산 생산 효율 동시에 대폭 증대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강릉 향호에서 발견한 자생 담수 미세조류 '테트라데스무스 오블리쿠스(Tetradesmus obliquus)' 의 배양 조건을 최적화해 생체량과 지방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최근 성공했다고 밝혔다.
 
테트라데스무스 오블리쿠스는 담수에서 서식하는 녹조류로 광합성을 통해 지방산을 생성·축적한다.
 
이 지방산은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바이오연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핵심 소재다.
 
연구진은 빛 세기, 온도, 질소와 인의 영양분 조성 등 배양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해 미세조류 생장률과 지방산 합성 효율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미세조류의 생체량은 37%, 지방산 함량은 76% 증가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 성과가 자생 담수 미세조류의 배양 효율과 지방산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 시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지속 가능한 친환경 바이오소재 산업의 기반 기술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의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는 자생 담수 미세조류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확대한 중요한 성과로 앞으로도 자생 생물자원을 기반한 친환경 바이오소재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 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