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외환시장 개입이 오히려 시장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9일 '최근 외환시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10월중 외환시장은 국제금융시장의 안정국면 회복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외환거래량이 대폭 줄어 작은 충격에도 환율이 큰 폭으로 움직이는 등 시장 변동성이 큰 폭으로 커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중개회사를 통한 일평균 외환 거래량은 33억7000만달러로 9월의 58억1000만달러보다 40% 가량 감소한 반면 원·달러 환율의 일평균 변동률과 변동폭은 각각 4.93%, 65.8원으로 9월의 2.18%, 24.7원보다 확대됐다.
이 연구원은 "지나치게 변동성이 커지면 경제주체들의 향후 경영계획 수립이 미뤄지고 시장참가자들의 거래의욕이 저하되는 등 막대한 사회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며 "정부는 사회적 비용의 최소화를 위해서라도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제반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9~10월 하루 환율이 50원 이상 변동한 날의 요인을 살펴보면 시장 개입과 관련한 뉴스가 상당 부분 있다"며 "정부가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외환시장개입은 시장 변동성을 오히려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신중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화파생상품 '키코'와 관련해서는 "일반적 선물환거래와 달리 예기치않은 환율 변동에 따라 손실규모가 커질 수 있다"며 "가입 목적을 헤지(위험회피)로 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기관들도 키코와 같은 손실가능성이 높고 투자성격이 짙은 파생상품 판매시 판매직원들은 상품내용에 대해 고객들에게 충실히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