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나라당 내에 경제위기 타개의 일환으로 개각을 포함한 전면적 인적쇄신과 체제개편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으로 잦아들었던 경제팀 개편 주장이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소 접촉’ 발언으로 재 점화되면서 쇄신론자들의 목소리는 한 층 힘이 실려진 상황.
그러나 이는 “개각이 아닌 경제난국 극복에 집중해야할 때”라는 청와대의 공식 입장과 이명박 대통령이 11일 인터뷰에서 “어느 시점을 계기로 새로운 것을 내놓는 것은 과거식 방법”이라며 연말 개각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과는 반해 당청갈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12일 여의도 당사에서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를 열어 경제위기 해법과 관련한 중진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차명진 대변인은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많은 분들이 실물경제가 급격히 하락하는 부분에 대해 우려했고, 이에 대한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며 “미증유의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워룸’,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주문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차 대변인은 “전반적인 체제 측면에서 윗물과 아랫물을 바꾸는 식의 흔들기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으로 잦아들었던 경제팀 개편 주장이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소 접촉’ 발언으로 재 점화되면서 쇄신론자들의 목소리에 한 층 힘이 실렸다.
특히 이윤성 국회부의장은 이 자리에서 “정부가 시장을 잘못 읽고 있으면 당이 건의를 해야 하는데 지도부는 목에 힘만 주고 앉아 있고, 대통령이 못하면 밑에서라도 움직여야 하는데 전혀 움직임이 없다”며 “인적쇄신을 할 부분은 하고, 바꿀 때가 되면 바꿔야 된다”고 범여권 차원의 전면적 인적쇄신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김무성 의원도 현재 정부가 제시한 내년도 경제성장률 4% 목표치를 비판하며, 경제위기 대처를 위한 컨트롤 타워 설치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의원은 “정부는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4%라고 주장하지만, 전문가들과 대화한 결과 내년 성장률은 1%대 후반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 뒤 “위기의 실체를 국민에게 솔직히 말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며 “청와대에 ‘워룸’을 만들어 시장의 심각성을 즉각 파악하고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한나 기자 hann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