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노조 파업해도 지하철 정상운행"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노조 파업이 오는 20일 새벽으로 예고된 가운데, 파업 방침에 정면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노사 양측이 막판 타협안을 도출하지 못할 경우 노조 측은 예정대로 파업에 돌입할 전망이다.  

김상돈 서울메트로 사장은 17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사가 원만한 대화를 통해 합의를 이뤄낼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그러나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필수유지인력, 협력업체 지원인력 등 대체인력을 투입하고 파업이 장기화 되더라도 열차 운행을 정상화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 하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어 "노조의 파업 실행은 국내외의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현 상황에서 집단이기주의에 의한 그릇된 판단이라는 점에서 큰 우려를 낳고 있다"고 지적하고 "노조는 직원의 복지와 임금에는 별 관심없이 직제개편 원상회복, 조건부 민간위탁 중지 등 '혁신추진의 전면 백지화'와 '해고자 복직' 등을 고집하면서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파행을 거듭해 왔다"고 주장했다.

서울메트로는 노조 파업과 관련 '정상운행 대책'을 마련하고,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열차운행은 평상시와 동일하게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필수 유지인력(3151명)과 파업 불참인력(3080명), 퇴직자·경력자(156명)와 협력업체 지원인력(2688명) 등 대체인력을 동원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승무원이 부족해지는 점을 감안해 심야 운행은 자정까지 단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노조나 노조원의 태업이나 필수유지업무 방해행위에 엄정 대처하고 해당자에게 책임을 묻기로 했다.

한편 서울메트로 노사는 지난 7월 8일부터 14차례에 걸친 단체교섭을 통해 대화채널을 가동해왔으나 타협안 도출에는 매번 실패해왔다. 

김영후 노조 위원장은 이에 대해 "노조는 마지막까지 원만한 타결을 위해 사측과 교섭을 벌일 것"이라면서도 "사측이 노조가 경영권을 침해하는 걸림돌로 보는 적대적 인식과 불성실한 교섭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파업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경영개선은 시민안전과 편의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가야 하고, 사측이 이를 공감하고 전제할 경우 대화를 통한 원만한 해결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현재 직제개편 원상회복, 조건부 민간위탁 중지, 해고자 복직, 고용안전 보장 등을 요구하며 사측과 대립하고 있다.

권영은 기자 kye30901@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