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까지 화력발전소의 발전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90% 이상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상용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3일(현지시각)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차 이산화탄소처리 리더십포럼(CSLF) 각료회의에 참석한 김정관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에 대한 기술개발과 실증실험을 거쳐 2020년까지 상용화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CS는 발전이나 철강, 정유 등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90% 이상을 포집해 압축한 뒤 이를 유전, 가스전 등 심층에 저장하는 기술로, 2020년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핵융합 발전이나 수소기술의 상용화 이전까지는 가장 효과적인 이산화탄소 감축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경부는 CCS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올해부터 2013년까지 1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기술개발에 나서고 한국전력 및 5개 화력발전사들은 이와 별도로 2020년까지 1조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에는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잠재량에 대한 조사를 벌여 포집, 압축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지역을 찾아내고 국내에 대규모 저장이 어려울 경우 이산화탄소를 재자원화하는 대체 저장기술 개발을 병행할 방침이다.
이런 방식으로 2014년까지는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2015년에는 기업 컨소시엄의 주도로 500MW급 발전소에서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현재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8%가 화력발전소에서 나오고 있는데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이미 화력발전소에 CCS의 적용을 권고하고 있어 이 기술이 없이는 앞으로 새 화력발전 시장진입이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 실장은 "초기에는 정부 지원으로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상용화 실증단계에서는 기업 주도로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