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카드연체율 2.6%..2분기 연속하락

 
경기회복 영향으로 가계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이 개선되면서 금융권 연체율이 줄줄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과 보험의 연체율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고, 신용카드 연체율은 2003년 카드대란 이후 최저 수준으로 급락해 현금서비스 금리 인하 여력이 커졌다.

18일 카드업계와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5개 전업카드사의 9월 말 연체율은 2.6%로 6월 말보다 0.5%포인트나 낮아졌다.

전업카드사 연체율은 작년 9월 말 3.3%에서 작년 말 3.4%, 올해 3월 말 3.6%까지 높아졌다가 두 분기 연속 급락세를 보였다.

9월 말 겸영은행의 카드채권 연체율도 1.9%로 6월 말에 비해 0.3%포인트 하락했다. 겸영은행의 카드 연체율은 2007년 말 1.4%에서 작년 말 1.9%, 올해 3월 말 2.3%까지 높아졌다가 역시 두 분기 연속 하락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위험관리를 강화하고 부실이 늘어나기 전에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처리함에 따라 연체율이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최근 삼성카드가 발표한 3분기 실적자료를 보면 가계의 대출상환 능력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성카드의 연체율은 3월 말 5.8%에서 6월 말 4.2%, 9월 말 3.2%로 현저히 낮아졌는데 신규 연체율이 낮아지고 연체채권 회수율이 높아진 데 힘입은 바 크다.

신규 연체율은 1분기 3.2%에서 2분기 2.7%, 3분기 2.4%로 하락한 반면 30~60일 연체채권 회수율은 1분기 33.2%에서 2분기 36.6%, 3분기 41.0%로 높아졌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사들의 분기별 부실채권 처리규모가 비슷한 수준임을 고려할 때 경기회복에 따른 대출자의 채무상환 능력 개선이 연체율 하락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하락하고 이익규모가 늘어남에 따라 평균 26% 수준인 현금서비스에 대한 금리인하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은행의 전체 원화대출 연체율도 9월 말 현재 1.11%로 6월 말보다 0.09%포인트 하락했다.

은행권 연체율은 작년 9월 말 0.97%에서 작년 말 1.08%, 올해 3월 말 1.45%까지 상승했다가 6월 말에 1.19%로 낮아졌다.

금감원은 기업 자금사정이 안정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신규 연체발생규모가 크게 줄었다며 두 분기 연속으로 은행권 연체율이 하락한 배경을 설명했다.

9월 말 보험사의 대출채권 연체율도 6월 말에 비해 0.27%포인트 하락한 3.60%로 국제 금융위기 발생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보험사 연체율은 작년 9월 말 3.61%에서 작년 말 3.76%, 3월 말 3.82%, 6월 말 3.87%로 점진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다가 하반기 들어 하락 반전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