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둘러싼 여야 기싸움 치열

한, 세종시 여론수렴속 후폭풍 경계 vs 민주, 세종시 이슈 전국화 '시동'

'기업도시'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의 세종시 구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지만 정작 정치권에서 세종시의 꼬인 실타래가 좀처럼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당인 한나라당은 갈등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당내 논란 차단 및 정부 입단속에 나선 반면 야당은 세종시 원안 추진을 위한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여론전에 나섰다.

◆한나라당, 논란 차단 나서

한나라당은 세종시 대안을 마련 중인 정부측에 '입단속'을 주문하고 나섰다.

세종시 수정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자 하루속히 대안을 제시할 것을 요구, 연내 대안 마련 방침을 관철했지만 대안에 담길 내용이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는 데 대해서는 경계하는 모양새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입단속에 나선 것은 당내 세종시 갈등, 당정관계, 나아가 세종시 수정 실현 가능성에 대한 불확신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를 둘러싼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간 입장차가 극명하게 엇갈리는 상황에서 당으로서는 정부의 섣부른 '언론 플레이'가 갈등을 부추길 가능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세종시 불길이 언젠가는 혁신도시로 번질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박재순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한국전력의 세종시 이전설이 언론에 보도돼 호남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고 지적했으나 김성조 정책위의장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혁신도시는 흔들림 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일각에서는 세종시 수정이 무산될 경우에 대비, 정부측과 거리두기 또는 퇴로 열어놓기를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민주, 여론몰이 통한 전선확대

민주당은 세종시 문제가 자칫 충청권만의 화두로 축소될 경우 대여 공세의 저변이 약화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대대적 여론몰이를 위한 전선 확대에 나섰다.

우상호 대변인은 "정부의 세종시 기업 유치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한 '돌려막기'로, 그 후유증은 고스란히 기존 기업도시 및 혁신도시 예정지 등으로 넘겨질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당 차원에서 이러한 부분을 집중 거론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세종시 문제를 혁신도시 사업과 연계, 충청권 중심으로 전개해온 장외 홍보전을 각 혁신도시 예정지를 거점으로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 16일 시작된 정세균 대표의 '버스투어'를 통해서도 세종시 쟁점을 전국적으로 넓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은 세종시 문제에 대한 수도권의 체감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 전셋값 급등 등 수도권 과밀화에 따른 비효율이 행정 분산으로 인한 비효율을 크게 능가한다는 점도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각 주마다 행정수도를 별도로 둔 미국의 '수도 분산' 사례도 세종시 원안 추진의 논리적 근거로 활용키로 했다.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 inch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