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간판 항공사 일본항공(JAL)이 19일 도쿄 지방법원에 회사갱생법 적용을 신청했다. 일종의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이다.
총 부채 규모는 2조 엔 전후로 알려졌다. 이는 2001년 파산한 일본 대형할인점 마이칼(1조6000억 엔)을 능가하는 것으로 일본 기업사상 기업 파산으로는 최대 규모다.
일본 시사통신은 JAL이 이날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정부 주도의 기업재생지원기구가 JAL을 지원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지원기구는 금융기관 등 채권단에 7000억 엔에 달하는 채권의 포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도 이날 JAL 파산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운행 안전성과 거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미 JAL의 영업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마일리지나 연료공급 등 모든 상거래에 관한 보증을 약속한 상태다.
지원기구는 JAL의 회생을 위해 3000억 엔의 공적자금을 투입, 3년 내로 JAL을 회생시킨다는 목표다.
JAL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전체 임직원의 3분의 1에 가까운 1만5700만명을 해고하고 100여개의 자회사 가운데 절반을 매각하거나 폐쇄할 방침이다. 채산성이 없는 국내외 노선도 대폭 정리된다. 니시마츠 하루카 최고경영자(CEO) 등 JAL의 현 임원진은 모두 퇴임하고 신임 CEO로 내정된 이나모리 카즈오 쿄세라 명예회장이 경영진을 새로 구성하게 된다.
시사통신은 JAL의 구조조정에 따른 국민 부담 발생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구조조정이 순조롭게 진행돼 JAL이 회생하면 주식 판매액이 국고로 환수되기 때문에 국민 부담이 발생하지 않지만 항공수요가 감소세에 있어 JAL이 성장궤도에 재진입할 수 있을 지는 두고봐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JAL의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그동안 일본증시 투자자들 사이에 팽배해 있던 '대마불사(too big to fail)' 신념이 무너지게 됐다고 보도했다.
그동안 일본증시 블루칩은 정부가 제공한 안전망 안에서 관리돼 대마불사 기업으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JAL의 법정관리 신청을 계기로 대마불사 기업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게 됐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JAL의 100% 감자와 상장폐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JAL의 기관투자자들은 보유 지분을 대부분 처분한 상태로 지분 거래는 개인투자자들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델타항공과의 제휴여부도 주목된다. 최근 델타항공 중심의 '스카이팀'에 속해 있는 에어프랑스-KLM은 "JAL과 제휴 관련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혀 JAL의 스카이팀 합류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아주경제= 김재환 기자 kriki@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