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FI 동의서 미제출···금호산업 상장폐지 '눈앞에'

  • 채권단, FI에 19일까지 출자전환 확약서 제출 요구

산업은행과 대우건설 재무적 투자자(FI)가 결국 합의를 보지 못하면서 금호산업 워크아웃 실마리가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18일 채권단은 이날 오후 3시 FI들과 회의를 열고 출자전환 확약서에 동의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단 한 곳도 확약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일단 채권단은 내일(19일)까지 확약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상태다.

대우건설 FI들은 출자전환 확약서의 일부 내용을 고쳐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우건설 FI들이 현재 문제삼는 대목은 '금호산업과 금호석유화학, 금호타이어, 아시아나항공 등 4개 금호 계열사들의 정상화 방안이 마련돼야 재무적 투자자들이 보유한 대우건설 지분을 주당 1만8000원에 사주겠다'는 항목.

즉 금호산업과 상관없는 다른 계열사들의 정상화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지분 매각을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이다.

한 FI는 "금호산업의 경영정상화 방안만 마련되면 우리가 보유한 대우건설 지분을 매입하는 걸로 항목을 바꿔야 한다"며 "다른 계열사 경영정상화 방안이 마련될때까지 한없이 기다릴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FI들이 결국 출자전환 확약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금호산업은 상장폐지 될 수밖에 없다. 금호산업은 이달 말까지 완전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입증을 못하면 상장 폐지된다.

채권단 관계자는 "FI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금호산업은 상장폐지 될 것"이라며 "시간이 좀 걸릴뿐 조만간 동의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금호산업이 상장폐지 되더라도 워크아웃은 따로 진행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상장폐지되면 말그대로 거래소 리스트에서 제외돼 향후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것"이라며 "상장 폐지에 가장 민감한 건 FI도 아니고 개인 투자자도 아닌 채권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장 폐지 후 감자 및 출자전환을 하게 되면 채권단이 손해 볼 것은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