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효과 활용한 집적회로 국내서 첫 개발

교육과학기술부는 양경훈 KAIST 교수팀이 세계 최고 성능의 아날로그ㆍ디지털 통신용 집적회로의 핵심 부품인 초고주파 발진기 회로와 '4대1 멀티플렉서' 회로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2개의 공명터널 다이오드(RTD)를 양자효과 발진기 회로를 위해 제작했고 자체 측정을 통해 29㎓에서 발진하는 출력 스펙트럼을 얻었다.

이어 양자효과를 갖는 공명터널 다이오드와 함께 초고속 스위칭 특성을 갖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를 동시에 집적, 새로운 집적회로를 제작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기술분야의 세계적 학술논문지인 'IEEE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될 예정이다.

아주경제 김명근 기자 diony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