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승익 제주특별자치도추진단장은 "부가가치세 사후환급제도(이하 부가세 환급제도)를 제주특별법에 근거을 두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반면 제주도가 부가세 환급제도 세부항목에 적용시키려던 품목인 향토음식점 추가는 양쪽 의견이 팽팽히 엇갈렸으나 결국 재정부의 입장을 수용했다.
오 단장은 "협상이란 것이 서로 밀고 당기는 게 있어 아쉽지만 세부항목부분에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특산품, 관광기념품, 렌터카 대여비 등 3개 품목으로 잠정합의했다"며 "하지만 이외 세부 품목에 대해서는 추후 제도개선을 확대해 조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김태환 도지사는 이날 오후 도청 기자실을 방문 "처음으로 모든 게 잘 되면 얼마나 좋겠나. 처음에는 바늘구멍도 들어가지 않을 것 같았는데..."라며 "특별법에 근거를 마련해 놓으면 이후에 적용 범위를 확대해나가는 것은 쉽지 않겠느냐. 발을 담가놓은 것만도 큰 성과"라고 평했다.
이날 부가세 환급제를 둘러싼 쟁점에 있어 극적으로 합의를 봄에 따라 향후 입법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6월 열리는 임시국회에 상정을 하고 빠르면 연내 시행을 목표로 한다"고 했다.
하지만 부가세 환급제 도입 문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
제주특별법을 근거로 3년 한시적으로 도입한다는 서면적 합의를 도출했지만 세부 사항은 조세특례제한법(조특법)에 근거을 두고 개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조특법에 적용되는 구체적 품목에 대한 내용 합의는 오는 9월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제주도로서는 한숨 돌리긴 했지만 연내 시행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지난 2006년 7월 제주도는 행정체계를 바꾸면서까지 특별자치도를 출범시켰다.
당시 정부는 "국방·외교문제를 뺀 모든 권한을 제주도에 넘기겠다"고 했지만 제주도가 특별자치도로서의 권한을 제대로 위임받았는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일각에서는 타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는 이미 지난 2006년 특별자치도로 탈바꿈할 때 이미 예견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특별자치도로서의 권한 불이행에 대해 도민들의 불만도 크다는 점도 문제다.
제주의 한 지역신문 기자는 "당시제주도민은 정부의 국책사업인 '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도민들의 반대 여론을 정부가 의식해 해군기지 건설 추진과 함께 '부가세 면세화' 추진의 '극약처방'을 내린 셈" 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극약처방' 역시 향후 진행과정에서 적지 않은 진통을 겪어야만 했다.
제주에서 관광가이드를 하는 김모(42)씨는 "지식경제부나 총리실, 제주도 등 나중에 말 바꾸는 정부 말은 어떤 말도 귀담아 듣지 않는다"며 "해군기지 건설은 그렇게 밀어 붙이면서 특별자치도 권한 이행에 왜 이리 많은 규제를 적용하는지 이해가 안된다. 도민을 우롱하는 것이냐"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번 부가세 환급제 합의가 제주민심을 달래는데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할지, 제주가 특별자치도로 성장하는데 얼마만큼의 발판을 마련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