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서울지역 재개발·재건축 조합의 시공사 선정 작업이 막바지에 치닫고 있다. 지난 16일부터 서울지역 정비사업에 적용 중인 공공관리자제도와 관련해 시공사 선정이 10월로 연기됨에 따라 조합 측이 시공사 선정을 서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업계 등에 따르면 오는 9월 말까지 서울지역 20여곳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이 시공사 선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공공관리자제도가 시행되면 시공사 미선정 재개발·재건축 단지는 사업의 주도권이 공공으로 넘어가 사업이 지연될 것이란 인식 때문이다.
신길 1구역은 내달 중 시공사 입찰 공고를 내고 늦어도 9월 말까지는 시공사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대우건설과 한신공영 컨소시엄이 가계약을 맺은 상태지만 법정시공권을 인정 받지 않아 재입찰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가계약 업체 외에도 대림산업, 동부건설, 현대산업개발 등이 수주전에 참여하고 있다.
또 장위15구역재개발사업, 아현2구역 재건축, 미아9-1구역재건축, 봉천1-1구역재건축, 염리4구역 등의 시공사 선정도 진행될 예정이다.
장위15구역 조합 관계자는 "공공관리제도를 적용받지 않으려면 9월 말까지 시공사를 선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달 중 시공사 선정 총회를 열 예정이다"고 말했다.
재건축 사업지 가운데 둔촌주공아파트와 고덕주공2단지가 최대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두 곳 모두 사업 규모가 수조원대에 달하는 데다 건설사들의 상반기 정비사업 수주 실적이 목표치에 크게 못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의 경우 당초 수익성 문제로 둔촌주공 등 이들 강동권 재건축사업을 포기했던 삼성건설, GS건설, 대림산업 등이 사업참여를 재검토 했지만 최근 조합 대의원회의에서 지명경쟁입찰방식을 선택하면서 이들의 참여가 불발될 전망이다. 따라서 이번 총회 또한 무산될 가능성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재입찰 공고 날짜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오는 24일께 지명한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지만 기존 참여사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밀어주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어 쉽지는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시공사 선정 총회 금지 가처분 결정으로 시공사 선정이 불발됐던 고덕2단지도 조만간 재입찰에 나설 예정이다. 이 곳에는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GS건설, 삼성물산 건설부문, 대림산업 등 5개 업체가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다.
조합 한 관계자는 "오는 9월께 다시 시공사 선정에 들어갈 것"이라며 "GS건설 삼성건설 대림산업 등도 다시 수주전에 참여하기 때문에 시공사에서도 더 좋은 조건을 내걸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이 같은 과열양상이 향후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나오고 있다. 대형사 한 관계자는 "최근 재개발 사업장에서 4억원에 달하는 이주비가 등장하고, 추진위 단계의 사업장이 시공사 선정을 위해 조합설립을 서두는 등 무리수를 두는 사업장이 늘어나고 있다"며 "공공관리제를 피하려다 고분양가 및 조합 분담금 상승 등으로 인한 사업지연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