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은영 기자) 최근 인천시가 발표한 배다리지역 ‘역사문화마을 만들기’ 사업과 관련, 배다리 인근 주민들이 인천시의 문화마을 지정에 관해 부당성을 호소하며 조속한 도시재생사업 조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배다리 도시재생사업 추진협의회 20여명은 23일 오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동인천주변 재정비촉진사업은 도시기능을 활성화 시키고자 공청회를 통해 지난 4월26일 재정비촉진지구로 최종 결정고시 되었다”고 밝히며 “극소수 주민들이 역사문화지구로 지정해 달라고 민원을 제기해 개발방식을 변경한다는 것은 이 지역 주민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부당한 처사”라고 반박했다.
또한 이들은 “배다리지역은 인구 감소로 인해 상권이 침체돼 있고, 노후한 주택으로 주거환경 또한 열악하다”며 “도시가스와 정화시설도 미비한 데다 신흥동-현대제철간 도로개설, 도시경관 불량으로 사람들이 살기에 부적합하다”고 목청을 높였다.
더욱이 이들은 “이 지역은 면적이 좁고 삼면이 도로에 맞물려 있어 이번 재생사업에서 제외되면 차후 공·민영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가 소중하기 때문에 배다리의 역사와 전통도 시대의 흐름에 맞게 미래지향적으로 발전되고 그 맥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하며 “지역에 맞는 도시개발을 진행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역사문화마을 만들기 사업' 대상지역은 동인천 재정비 사업지구인 동구 금창동 16번지 일원과 지구 외 창영동 23번지 일원 약 12만㎡ 이며, 이 곳에는 현재 시 문화재인 창영초(구)교사, 인천 기독교사회복지관, 영화초교 본관동이 위치하고 있는 등 근대문 화 유산이 남아 있다.
이로 인해 배다리를가꾸는인천시민모임과 배다리 주민, 상가 대책위원회는 인천시를 상대로그동안 배다리 주변 일대를 역사 및 문화지구로 지정해 줄 것을 촉구해 왔다.
이에 인천시는 지난 12일 그동안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에서 요구해온 배다리 지역 '역사문화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해 도시재창조 모델로의 개발을 적극 검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