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국민의 소득보다 빚의 증가 속도가 더욱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의 고소득층 편중도 더 심해져 자산과 부채의 불균형은 저소득층이 더 심각하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6월 말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711조6000억원으로 직전 1년간 총처분가능소득(GNDI) 1117조1000억원의 64%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3년 6월 말의 54%에 비해 10%포인트 가량 높은 수준이다.
GNDI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6월 말 기준으로 2004년 55%, 2005년 56%, 2006년 59%, 2007년 60%, 2008년 61% 등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경제 규모가 커지면 대출금이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문제는 GNDI보다 가계 대출금이 늘어나는 속도가 더욱 가파르다는 것.
특히 소득 증가분이 고소득층에 몰리는 현상이 심해져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처분가능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1996년 0.298에서 지난해 0.350으로 커졌다.
이 가운데 자산 대비 부채의 배율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노동패널 조사에 나타난 2008년 기준 부채보유 가구의 소득 분위별 이자부 자산(예금+저축성보험) 대비 이자부 부채(금융회사+비금융회사 부채) 비중은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가 6.67배, 2분위가 7.96배였다.
고소득층인 5분위는 이 배율이 3.00배로 나타나 저소득층의 자산 대비 부채 부담이 고소득층의 갑절을 넘었다.
주택이 없는 1~2분위는 이 배율이 14.45배와 21.61배에 달했다. 소득이 낮으면 대출 금리는 높게 매겨질 가능성이 커 이자까지 계산한 부채 부담은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