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입으로 문자 쓰세요"·구글, 말로 쓰는 모바일 서비스 출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06 14: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한국어 음성으로 얘기하면 자동으로 글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가 출시됐다.

구글코리아는 6일 서울 강남 역삼동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스마트폰에 대고 말하면 텍스트로 입력해주는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를 선보였다.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는 구글이 앞서 선보인 '보이스 인풋(Voice Input)'의 한국어명이다.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는 이동하는 중이거나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음성만으로 지메일이나 구글 토크, 문자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 빠른 속도와 정확성을 자랑한다.

이 서비스는 휴대폰을 통해 문자를 작성하거나 메일을 작성할 때 입력에 불편함을 느꼈던 이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구글 측은 지난 6월 한국어 음성 검색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현재 구글 모바일 전체 검색의 2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구글은 음성 검색 서비스에 이어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를 출시해 모바일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킨다는 전략이다.

이날 직접 시연을 통해 서비스를 소개한 구글 측은 1000개의 단어까지 무리없이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단어에 한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직접 시연해 본 결과, '네' 같은 한국어가 영어 'net'으로 인식되는 오류와 몇 가지 띄어쓰기 실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음성 문장이 제대로 입력됐다.

구글 측에 따르면 지난 6월 출시한 한국어 음성 검색 서비스는 정확한 웹페이지를 찾기 위한 검색어 중심의 데이터 훈련이 필요했지만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는 실제 사용하는 문장을 정확히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백만개의 어구 및 문장을 반영, 시스템을 보다 정교화했다.

마이크 슈스터 구글 음성인식 총괄 연구원은 "빠르고 정확한 입력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업그레이드 뿐만 아니라 블로그, 뉴스 등을 통해 한국인이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백만개의 어구와 문장에 대한 추가적인 학습으로 시스템을 보다 구체화했다"고 말했다.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는 영어 서비스에 이어 전 세계 언어 중 두 번째로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했고 안드로이드 2.2 버전에서 사용 가능하다.

슈스터 연구원은 한국어를 두 번째 서비스 언어로 선정한 데 대해 "현재 10개 이상의 언어가 음성검색을 지원하는데 한국어 음성검색이 매우 성공적이었고, 정확도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이유를 들었다.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는 LG 옵티머스원에 기본 탑재되며 HTC 넥서스원, 디자이어 같은 안드로이드 2.2 버전의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구글 한글키보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단 아이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한편 구글코리아는 내비게이션 작동이나 음악 파일 재생, 전화 걸기 등이 가능한 '보이스 액션(Voice Actions for Android)' 서비스나 음성으로 입력하면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해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 통역' 서비스 등을 조만간 국내 선보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ytk5731@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