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美 등 주요국 동결·인하로 '동결론' 급부상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현재 세계 주요 국가 중 입구전략을 시도하는 나라도 많다." "금융·통화정책을 일방향(출구전략)적으로 밀어부치는 것은 옳지 못하다." 강명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최근 기자와 만나 한 말이다.

일본 중앙은행이 지난 5일 기준금리를 기존의 0.1%에서 0~0.1%로 인하하며 4년 3개월만에 제로금리 정책으로 복귀했다. 경기부양을 위한 사실상 '입구전략'을 시도한 셈이다.

이 같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하 결정이 오는 14일 열리는 금통위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집중된다.

그동안 10월 금통위를 두고 '금리인상론'에 무게가 실렸다. 물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데다, 지난달 금리를 동결한 만큼 이달에는 올리 지 않겠느냐는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일본의 제로금리 정책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금리 동결 및 인하로 '동결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한국처럼 경제 대외의존도 및 자본시장 개방도가 높은 나라가 주요 경제 대국의 결정에 역행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선진국들이 잇달아 금리를 동결 또는 인하하고 있어 한국이 이와 반대되는 정책을 내리기는 힘들 것"이라며 "더구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불과 한달 앞둔 상황서 의장국인 한국의 부담은 어느 때보다도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국이 경기 회복을 위해 추가 부양책을 쓰고, 원화값이 연일 상승하는 상황서 금리를 올리기는 부담스러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국의 금리가 오를 경우 달러캐리 트레이드자금이 추가 유입돼 환율 하락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금리 인상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여전히 높다.

지난 9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대비 3.6%, 전월대비 1.1%나 오르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거세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김재홍 신영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금리 인하는 예견됐다"며 "일본의 금리 인하보다는 국내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이 더 크기 때문에 금통위의 결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시장 전문가 167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1.1%가 금통위가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