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연맹은 8일(현지시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직접 평화협상을 진전시키는 데 한 달의 시한을 제시했다.
아랍권 22개 국가로 이뤄진 아랍연맹은 이날 리비아 시르테에서 열린 외무장관 회의 후 성명을 통해 유대인 정착촌 건설이 중단되지 않으면 평화협상이 깨질 것이라며 정착촌 반대 입장을 밝힌 뒤 미국을 향해 이 같은 '데드라인'을 제시했다.
아랍연맹 내 평화협상 위원회는 아울러 이-팔 직접 협상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갈 경우 한 달 내 다시 만나 "새로운 대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평화협상 위원회는 미국이 유대인 정착촌 활동 중단을 위해 이스라엘을 압박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마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수반의 측근인 나빌 아부 루데이나는 "위원회가 평화협상 지속을 위해 정착촌 건설 중단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고 평했다.
이번 아랍연맹 외무장관 회의는 이스라엘이 지난달 27일 10개월간의 정착촌 동결 조치를 해제하고 건설 활동을 재개하자 평화협상 존속 여부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압바스 수반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아랍연맹은 이 회의에서 정착촌 건설을 둘러싸고 이스라엘과 대화를 중단하겠다는 팔레스타인 지도부의 뜻을 지지했다.
아므르 무사 아랍연맹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의 태도가 평화협상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면서 "상황이 부정적이지만 이스라엘은 직접 협상을 계속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일부 아랍연맹 외교관들은 이날 외무장관 회의 전 평화협상 파탄을 막기 위한 고육책으로 직접 대화 대신 간접 대화를 재개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면서 이집트와 요르단 등 비교적 온건한 아랍 국가들이 이 방안을 지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리아를 비롯한 강경파 회원국들은 평화협상 재개가 쓸모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