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준혁 기자) 지난 8일 이제학 서울 양천구청장이 '취임 100일'을 맞아 발표한 '10대 핵심사업'에 목동아파트 재건축 문제가 포함된 가운데 지역에서도 재건축의 기대감이 점점 높아지는 모습이다.
재건축 허용 연한이 '최장 40년 이상'으로 규정된 현재의 서울시 조례에 따르면 목동아파트(14개 단지·2만6600여 가구·203만7918㎡)는 단지별로 2013년~2022년 재건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재선을 맞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5월 "재건축 허용 연한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라며 재건축 허용 연한 단축을 반대하는 기존의 입장에서 전향한 상태이고,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민주당의 구청장·시의원 다수도 재건축·재개발 활성화와 재건축 허용연한의 완화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특히 목동아파트단지는 전임 양천구청장 당시 마스터플랜 설계 공모작품을 선정한 상태로(선진엔지니어링·A&U디자인그룹 컨소시엄), '목동아파트 재건축 용적률 2배 상향'을 공약으로 당선된 현재 양천구청장도 전임 구청장 재임기에 선정됐던 작품을 통해 빠르게 재건축을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
◆거주민들의 재건축 목소리 커지는 목동아파트 단지
목동아파트 단지의 재건축 문제는 저층아파트 거주자들은 물론 고층아파트 거주자 또한 목소리를 크게 높이는 모습이다.
계획적 신시가지로 개발된 목동아파트 단지는, 교육여건이 우수하고 편의시설도 폭넓게 갖춰져 있는 데다 쾌적한 조경을 보유하나, 주택 평면이 구식이고 배관이 낡은 데다 주차난이 매우 심각해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던 단지다. 자연스럽게 주민 다수의 의견이 단지 재건축으로 모아진 상태다.
더불어, 서울시가 부동산 투기 조장과 자원의 낭비를 이유로 줄곧 재건축 허용 연한 완화를 반대하던 상황에서 입장을 바꿨고, 야당 출신인 현임 구청장도 재건축에 적극적 모습을 나타내자 주민들의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이다.
실제 일부 주민은 시의회에 재건축 허용 연한 완화를 촉구하는 건의문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만약 재건축 허용 연한이 준공 20년 이후로 단축된다면 목동아파트 단지는 당장 올해부터 모든 단지의 재건축이 가능해진다. 이는 기존 조례에서 2022년에야 가능했던 11·12단지도 동일하다.
◆재건축 허용 연한이 단축돼도 안전진단이 최대 변수
목동아파트 단지를 재건축하면 개발 수익은 클 것으로 많은 주민들은 분석한다. 실제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로 인해 현행 용적률 132.62%를 최고 300%까지 올릴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목동아파트 단지의 재건축을 조례의 개정 만으로 낙관하는 것은 무리가 크다.
현재의 제도대로라면 작년부터 구조안전성의 항목이 줄면서 안전진단 기준이 완화됐지만 목동아파트 단지는 정부에서 건설 당시에 워낙 내구성을 강조해 튼튼하게 지어졌기 때문이다.
목동아파트 단지와 비교해 먼저 건축된 개포동 은마아파트 단지가 4수 끝에 조건부 통과가 됐던만큼 안전진단을 통과하는 절차도 쉽지만은 않다는 지적이 지역에서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고층 아파트 주민을 중심으로 일부 주민들의 의지도 커다란 변수이다. 양천구청 측은 '쾌적성 유지'에는 리모델링이 유리하나 '사업성 증대'에는 재건축이 낫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을 바라는 일부 주민들은 현재도 삶에 지장이 없다면서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
![]() |
||
▲ 목동아파트 1~14단지 현황 |
목동 재건축이 당장 가시화된 것은 아닌 지라 '재건축 특수'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3.3㎡ 당 가격을 기준으로 3단지 115㎡ 주택형은 9억3000만원~10억3000만원 선, 14단지 181㎡ 주택형은 14억~16억5000만원 선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1억원 이상 떨어진 수준이다.
목동 M모 공인중개 관계자는 "재건축을 노리고 목동에 투자하는 경우 단지와 주택형 별로 대지 지분의 차이가 크므로 매입 때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leejh@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