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민 10명중 8명, “G20 기간 물리적 시위 반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11 18: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김영욱·강정숙 기자)우리 국민 10명중 8명 정도는 서울 G20(주요 20개국)정상회의 기간 물리적 시위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위원장 사공일 이하 준비위)는 11일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G20 정상회의와 관련,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행사기간 중 ‘물리적 시위’에 대해 국민들은 76.1%가 반대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에서 87.4%, 40대 78.9%, 30대 73.3%, 20대 69.15%, 10대 67.4%로 노년층으로 갈수록 물리적 시위에 대한 반대의견이 많았다.

또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85.7%는 G20 정상회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변했으며 우리나라가 의장국임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86.4%에 달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여론전문기관 코리아 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전국 16~69세 남녀 900명을 대상으로 전화여론조사를 실시해 나온 것이다. 신뢰수준은 95% 오차범위는 ± 3.2%포인트다.

준비위는 또 친환경 전기차를 행사용 차량으로 운용한다고 이날 밝혔다.

G20 정상회의 행사용 차량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전기차는 현대차의 블루온 8대, GM대우의 라세티EV(가칭) 7대, V-ENS의 V-Green 2대, 현대차와 한국화이바 친환경버스 16대 등 총 33대다.

승용차는 행사준비를 위한 행정차량으로 사용되며, 버스는 행사기간에 대표단과 취재진 등 수송을 위한 셔틀버스로 사용될 계획이다.

준비위는 전기차 운용을 통해 차세대 친환경 차량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고 국내 친환경 전기차 기술에 대한 대외홍보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G20 정상회의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31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지난 7일 보고서에서 G20 정상회의의를 통해 직ㆍ간접적인 효과가 각각 2667억원, 31조800억원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직접적 효과는 예상 방문객 1만5000명이 숙박, 식사, 쇼핑 등에 인당 346만원을 지출하는 것을 가정한 것으로 내방객 지출총액 523억원과 이 지출로 유발되는 부가가치 446억원, 잦은 외국 언론 노출에 따른 기업의 광고비 절감액 1698억원 등이 포함됐다.

특히 광고비 절감액 1698억원 산출의 근거로 삼은 국가 브랜드 홍보효과는 개발도상국에서 열리는 첫 G20 정상회의인데다 주요 의제가 많다는 점이 고려돼 이전에 열렸던 토론토와 피츠버그 회의의 갑절인 2억달러로 추정됐다.

아울러 이번 회의를 통해‘코리아(Korea)’라는 브랜드가 전세계에 각인돼 한국 제품의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면서 얻는 간접 효과도 클 것이란 분석이다.

무역협회는 또 G20 정상회의 개최로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면서 수출이 20조1427억원(3.9% 상승) 늘어나고, 이에 따른 부가가치가 10조5749억원이 발생하는 간접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제조업의 광고비와 매출 증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광고매출 탄력성(0.72)과 수출의 외화가득률(수출액 대비 국내 부가가치 유발 비율) 52.6%를 적용해 산출됐다.

이와 함께 이번 회의 개최의 인해 국가신용도가 1등급 상승하면 외자 차입비도 2904억원 절감하는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kyw@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