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용수 개발을 위한 지반 시추로 폐공이 양산되고 시추 실패율이 40%에 이르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강석호 한나라당 의원이 한국농어촌공사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시추한 1057곳에서 635건의 지하수가 개발됐다.
그러나 지하수 개발 실패로 인해 422개의 폐공이 발생했으며 사업비 362억5700만원 가운데 168억8000만원이 소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추율이 60%에 불과한 것으로 1개당 시추 비용이 4000여만원임을 고려할 때 예산 낭비는 물론 폐공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것이 강 의원의 분석이다.
특히 농어촌공사는 도입가격이 3억6천만원대인 착정기를 비롯해 총 761억140만원에 이르는 환경지질장비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낮은 시추율에 머물러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석호의원은 “지하수 자원 난개발로 인해 수질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농어촌공사가 수립한 농촌지하수관리 대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