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서울지역 오피스 공실률이 3분기에도 4%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적체 물량이 줄어들면서 공실률은 전기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알투코리아부동산투자자문이 서울의 오피스 빌딩 1100개동(대형 827개동, 중소형 273개동)을 대상으로 공실면적, 임대료 등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오피스 공실률은 4.2%로 전분기 대비 0.2%p 하락했다. 이중 대형 오피스 공실률은 4.1%로 전분기 대비 0.1%포인트 내렸으며 중소형 오피스는 5.7%로 2.0%포인트 하락했다.
대형오피스 공실률을 권역별로 보면, 도심권역에서는 국제강의 을지로 '페럼타워(Ferrum Tower)' 등 신규 공급된 오피스로 인해 공실이 일부 늘었다. 하지만 서울스퀘어의 대규모 공실해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1.5%포인트 감소한 3.9%로 조사됐다. 또 강남권역은 대기업의 송도신도시 이전 등 대형 공실 발생으로 공실률이 전분기 대비 0.4%포인트 상승한 4.8%를 기록했다. 일부대형빌딩에서 대형공실이 발생한 마포·여의도권역은 1%포인트 오른 2.8%를 보였다.
중소형오피스는 도심권역에서 전분기대비 6.5%포인트 하락한 2.5%, 강남권역은 전분기 대비 1.1%포인트 하락한 6.8%로 조사됐다. 마포·여의도권역은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내린 6.1%를 보였다.
또한 3분기에 공실 면적이 증가한 빌딩의 비율은 전체의 27.1%로 공실 면적이 감소한 빌딩 비율 30.7% 보다 적게 나타나 개별 빌딩의 공실해소 실적은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심권역에서는 공실면적이 감소한 빌딩이 36.2%로 공실이 줄어든 빌딩이 가장 많았다.
한편 서울의 완전임대비율(공실이 전혀 없는 빌딩)은 43.4%로 전분기에 비해 0.6%포인트가 감소했다. 도심권역의 완전임대비율은 전분기 대비 2.3%포인트 상승한 41.2%, 마포·여의도 권역은 4.3%포인트 오른 46.9%, 강남권역과 기타권역의 완전임대비율은 전분기 대비 3.4%포인트 하락해 각각 42.6%, 45.8%로 조사됐다.
알투코리아 관계자는 "개별빌딩에서 공실이 감소한 빌딩의 비율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공실률 하락폭이 작고 완전임대비율이 낮아졌다"며 "이는 공실 발생은 기업이전 및 신규공급 등의 원인으로 대규모로 발생하는 반면, 공실 해소는 소규모로 이뤄졌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