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SKC, 고분자투명전극필름 세계 최초 상용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14 10: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기존 ITO필름에 비해 품질 및 가격 경쟁력 월등


   
 
SKC가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고분자투명전극필름.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SKC가 고가의 ITO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투명전극필름’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이 필름은 희소금속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부족 해소와 소재 국산화에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다.

SKC(대표이사 박 장석)는 14일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터치패널용 투명전극필름 개발에 성공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상용화된 터치패널용 투명전극필름은 ITO(Indium Tin Oxide, 금속산화물)를 이용한 필름이 대부분이었으나 SKC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을 개발, 상업화에 성공함에 따라 터치패널용 투명전극필름 시장에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

일본의 일류 소재업체들도 고분자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개발을 위해 2000년대 들어 적극적인 투자를 했으나 내구성, 내습성, 표면저항 등 핵심 기술 확보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SKC가 5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한 ‘고분자투명전극필름’은 기존의 ‘ITO투명전극필름’에 비해 품질은 동등하면서 가격경쟁력이 우수해 ITO필름을 빠른 속도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ITO필름과는 달리 휘어지는 특성과 무색에 가까운 푸른색을 띠며 내구성이 뛰어나 터치스크린용 외에도 박막태양전지, e-Paper, LED조명 등 다양한 미래 유망산업에 응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투명전극필름은 터치스크린패널의 핵심소재로 투명하면서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휴대폰을 비롯한 네비게이션, 모니터, PMP, 전자수첩 등의 터치패널에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수요가 급증하면서 ITO투명전극필름의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대부분 일본업체들이 필름소재를 포함, 터치패널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수급과 가격 측면에서 국산화가 절실하다.

더구나 ITO의 주원료인 인듐은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58%를 차지하고 있어 수급 불균형에 대한 우려로 가격이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SKC의 이번 고분자투명전극필름 상용화는 공급부족 해소와 소재 국산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명전극필름의 세계시장규모는 2010년 5600억원 정도로 매년 23%이상의 고성장을 하고 있어 2013년엔 1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일본의 니토덴코(Nitto Denko)와 오이케(Oike)가 50% 이상을 과점하고, 데이진카세이(Teijin Kasei)와 토요보(Toyobo)가 그 뒤를 잇고 있다.

leealiv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