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고위공무원단의 경우 역량평가에서 세 번 탈락한 사람은 해당직급 임용에서 영구적으로 배제하는 '삼진아웃제'도 추진된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4일 이같은 내용의 '인사·조직 쇄신안'을 발표했다.
외교부는 70여개의 재외공관 고위공무원단 직위중 20%에 달하는 14개 직위를 개방형 직위로 지정해 타부처와 민간의 우수 인력을 영입하기로 했다.
또 5급 이상 특채 선발을 행정안전부로 이관하고, 6~7급 직원 채용도 행안부 공채 위주로 선발한다.
이와 함께 현재 21개인 차관급인 직무등급 14등급 재외공관장 직위를 축소할 방침이다.
김성환 장관은 "인사관리에 있어 공정성·투명성·객관성을 제고하고, 배경이 아닌 능력과 실적에 따른 인사를 통해 이러한 인재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나가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고위공무원단의 경우 역량평가에서 세 차례 탈락한 사람은 해당직급 임용에서 영구 배제된다. 무보직기간이 1년6개월이 경과할 경우 외무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직권면직토록 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과장급 이하 실무직원들에 대해서는 해당 부서장이 능력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직원을 직접 선택하는 드래프트(Draft) 제도를 시행할 방침이다.
외교부는 드래프트 과정에서 수차례 탈락한 직원은 정년까지 신분보장을 받지 못하도록 퇴출제도와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외교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쇄신안에 대해 "외부에서 기본적으로 역량있는 사람이 온다면 찬성이다. 경력있는 외교관이라고해서 경쟁력 없이는 힘들고 기득권 외교의 시대는 지났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외교업무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외부 인사를 영입할 경우 1년은 업무를 배우고 업무를 시작하게 될텐데 그런 부문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모르겠다"며 "명분과 가치관이 맞는 외부인사의 채용을 얼마나 비켜 갈 수 있을지도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외교부 관계자도 "외교업무는 경제를 잘 아는 사람이어야 하는데 기존 전통적인 우방국에만 치우쳐 있는 정무 위주의 업무시스템 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