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독일의 다문화 사회 건설 노력이 "완전히 실패했다"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최근 발언이 무슬림에 대한 반(反)이주민 정서를 둘러싼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메르켈 총리는 지난 16일 포츠담에서 기독교민주당(CDU) 청년 당원을 상대로 한 연설에서 "다문화 사회를 건설해 함께 어울려 공존하자는 접근법은 완전히 실패했다"고 말했다. 또 이주민들이 독일어를 배워야 하며 독일 문화에 뿌리깊이 박혀 있는 기독교적 가치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메르켈이 이끄는 기독교민주당 내 보수파 의원들은 강한 지지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 시민은 실망감을 표시하고 있다.
다양한 인종들이 모여 사는 크로이츠베르그의 다니엘라 요나스는 "메르켈의 발언은 너무 이분법적이고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모로코 출신 이주민인 하킴도 "부끄러운 일이다. 그것은 독일 내 (현재)분위기에도 좋지 않고 도움이 되지 않는 발언"이라고 말했다.
최근 독일 내에서는 다른 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독일이 점차 이주민들로 넘쳐나고 있다는 견해가 팽배해지고 있다.
현재 독일에 거주하면서도 주류 사회에 편입되지 못하고 있는 500만명에 이르는 무슬림 이주민들로 인한 독일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부담이 점차 가중되면서 우려를 더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다수 무슬림 이주민들은 독일어를 조금 또는 아예 구사하지 못하며 저소득층이거나 독일 정부가 주는 보조금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최근 독일에서는 고령 인구의 증가와 숙련된 노동자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녹색당 소속 의원인 볼커 베크는 17일 "독일은 경제적 우위를 유지하고 인구통계학적 개발을 위해 더 나은 자격을 갖춘 이주민들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최근 미국은 독일과 프랑스를 겨냥한 자생 테러 조직들의 음모에 대해 경고했고 독일 정부도 최근 군사 훈련을 받기 위해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여행한 자국민 수십명을 적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독일에서는 무슬림 이주민들이 독일 사회에 제대로 동화시키는데 실패한 것이 자생 테러의 우려를 높이고 있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한편 지난주부터 독일 일부 대학에서는 자국 내 터키 출신 이맘(무슬림 성직자)들이 종교 의식을 터키어뿐 아니라 독일어로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독일어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news@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