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최근 물가상승기조에도 불구하고 한은의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계속 동결하는 배경에 고환율·저금리 정책을 추구하는 정부의 압력이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으로 이날 답변을 위해 출석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의 진땀을 빼게 만들었다.
여야 의원들의 이 같은 지적에 윤장관은 정부의 인위적 환율정책 개입에 대해 부정했고 김중수 한은 총재도 “국제적 환경을 고려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응대했다.
이종구 한나라당 의원은 “우리가 더 이상 수출지원적인 고환율 정책에 집착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환율은 거시적 균형과 대외 균형을 감안해 적정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혜훈 의원도 금리동결에 대한 정부의 외압설을 제기했고 이에 윤 장관은 “기준금리는 금통위에서 종합적 상황을 판단해 결정하는 것이고 정부는 고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 개입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오제세 민주당 의원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석 달째 동결하면서 시중 부동산자금이 주식, 부동산 등 위험자산으로 이동하고 자산버블 현상이 증대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같은 당 김성곤 의원은 재정부 차관이 금통위 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거론하며 “IMF에서도 이는 옳지 않다고 보고 있다”며 “의장국인 한국이 환율 조작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도 있다”고 지적하자 윤 장관은 “정부에서 (금통위 회의에)참석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바람직하고 긍정적으로 본다”고 답해 재정부 차관의 금통위 발언권 행사를 중단하지 않을 뜻임을 밝혔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