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탑평리 유적지 백제, 신라 주거지 확인

   
 
충주 탑평리 유적지 시굴조사 구역 전경.

(아주경제 윤용환 기자)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1일 충주 탑평리 유적지에서 ‘고대 중원경 종합학술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제3차년도 시굴조사 성과를 학계 전문가 및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일대는 신라의 9주5소경(九州五小京)에 해당하는 국원소경(國原小京, 이후 中原京)이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 중 하나다. 남한강을 끼고 발달한 주변 일대에는 장미산성(사적 제400호), 중원고구려비(국보 제205호), 누암리 고분군(사적 제463호), 하구암리고분군, 중원탑평리칠층석탑(국보 제6호) 등 고대 삼국의 주요 유적들이 분포돼 있다.


지난 7월 15일부터 시작된 이번 시굴조사는 6세기 중엽 신라의 중원 진출을 전후한 시기에 형성된 고대도시의 실체를 고고학적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중원탑평리칠층석탑에서 북북서로 약 800m 떨어진 조사구역에서 신라시대의 대형 건물 지와 4~5세기의 백제 수혈주거지가 확인됐다.

9동의 백제시대 주거지 가운데는 부뚜막 시설과 도랑을 갖춘 평면 ‘呂’자형의 대형 주거지도 포함되어 있다. 백제 주거지와 수혈유구(竪穴遺構)가 폐기된 후 형성된 상부 문화층에서는 신라~통일신라시대의 건물지 및 관련 유구가 거의 전 구역에 걸쳐서 확인됐다. 

happyyh6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