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차기 대통령선거의 시대정신으로 거론되는 ‘복지국가 실현’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 번 피력했다. 아버지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제31주기 추도식 자리에서다.
박 전 대표는 26일 오전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추도식에 참석, 유족 대표 인사를 통해 “매번 아버지, 어머니가 누워계신 묘소에 오면 많은 생각이 든다”며 “대한민국은 ‘우리도 잘 살아보세’란 구호로 시작해 오늘의 발전을 일궜고, 이제 수많은 개발도상국의 꿈과 희망이 되고 있다”고 소회했다.
특히 그는 "우리 앞엔 부익부 빈익빈, 과거와는 다른 빈곤 등 녹록치 않은 난제가 많지만, 위대한 국민과 조국을 지키는 호국영령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 "숱한 악조건 속에서 오늘을 만든 대한민국만이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있고, 우리 안에 미래로 도약할 힘이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박 전 대표가 추도식 인사에 나선 것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로, 이전까진 동생 지만씨가 인사말을 해왔다.
박 전 대표가 ‘복지국가론’을 제시한 것 역시 작년 추도식이 처음이었다.
당시 박 전 대표는 “아버지는 경제성장을 위해 노력했지만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었다”며 “우리가 여전히 이루지 못한 것, 우리의 궁극적 꿈은 복지국가 건설이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에선 ‘경제’란 화두가 이명박 대통령의 승리를 견인했다면 자신은 앞으로 ‘복지’에 무게를 둘 것임을 일찌감치 알린 것이다.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생각은 최근 그가 보이는 일련의 행보에서도 그대로 묻어난다. 박 전 대표는 정기국회 국정감사 직후인 23일 미니홈피에 올린 글에서 “이번 국감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재정과 조세제도는 어떤 기준과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는지, 사회의 어려운 분들을 위해 국가는 뭘 할 수 있는지 평소 생각하던 것을 짚어보는 기회가 됐다” 전했다.
아직은 본격적인 대선 행보에 앞선 ‘몸 풀기’ 수준이지만,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전략과 정책방향을 착실히 가다듬고 있는 것 같다”는 당 안팎의 대체적인 평가다.
친박(친 박근혜)계 뿐만 아니라 친이(친 이명박)계 의원들에게도 먼저 인사를 건네는 등 스킨십도 눈에 띄게 달라졌다.
그러나 세종시 논쟁 이후 정치현안에 대한 ‘침묵’이 길어지는데 대해선 우려 섞인 시각이 적지 않다.
정부의 4대강 사업이 그 대표적인 예다. 보수 진영의 ‘책사’로 꼽히는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과정에서 계속 갈등을 빚으면 결과적으로 박 전 대표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면서도 “국가 최고지도자가 되겠다는 사람이 정치적 이해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면 국민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 친박 의원은 "때가 되면 (4대강에 대해서도)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으나, 이미 민주당 등 야당에서 이를 박 전 대표에 대한 공세의 빌미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이날 박 전 대통령 추도식엔 쌀쌀한 날씨에도 원희룡 사무총장과 친박계인 이경재, 박종근, 이해봉, 허태열, 한선교, 안홍준, 유기준, 이성헌, 구상찬, 이정현, 허원제, 이한성, 조원진 등 한나라당 의원 30여명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등 2000여명이 참석했다.
ys4174@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