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국내 은행들의 단기 외화차입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한국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을 제외한 10개 국내 은행의 기간물(만기 2일~1년) 차환율이 65.1%로 전월 대비 8.6%포인트 하락했다고 28일 밝혔다.
차환율은 차입금에 대한 만기연장 비율이다. 이 비율이 하락했다는 것은 만기를 연장하는 대신 차입금을 상환하는 비중이 높았다는 의미다.
지난달 국내 은행의 중장기차입 금액은 18억7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3억9000만 달러 증가했다.
만기도래한 중장기차입금 상환을 위해 산업은행(9억8000만 달러)과 수출입은행(6억 달러)이 신규 차입을 늘렸기 때문이다.
9월 말 기준 한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국가신인도 상승 및 한국 채권에 대한 외국인 매수세 증가로 전월보다 22bp 내린 101bp를 기록했다.
외평채 가산금리는 5bp 하락한 104bp를 기록했다.
90일 기준 가산금리는 전월 대비 3.3bp 상승한 30.6bp를 기록했고, 1년물 가산금리와 5년물 가산금리는 각각 100bp와 147bp로 집계됐다.
외환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은 9월 말 97.2%로 전월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그러나 외화자산 산출기준이 강화되기 전인 6월 말 기준으로 재산출하면 108.3%로 높아진다.
또 잔존만기 7일 이내 외화자산에서 7일 이내 외화부채를 뺀 수치를 외화총자산으로 나눈 7일 갭비율은 0.5%(종전 기준으로 1.6%), 1개월 갭비율은 0.4%(종전 기준으로 3.4%)를 각각 기록했다.
외화유동성 비율과 7일 갭비율, 1개월 갭비율의 지도기준은 각각 85%, -3%, -10% 이상이다.
gggtttppp@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