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9.11테러가 발생한 지 9년이 지난 현재 미국으로 향하는 1천450만대의 화물 컨테이너 중 1%만이 해외 현지에서 사전 검사절차를 거친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 국토안보부가 29일 밝혔다.
재닛 나폴리타노 국토안보부 장관은 이날 이같이 밝히면서 관련조치가 기술과 비용을 수반하는 만큼 2012년 7월1일까지 해외 현지검사를 100%로 끌어올리려는 당초의 목표시한은 최소한 2년가량 지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예멘발 화물기편에 실려 시카고 소재 유대인 회당으로 향하던 폭탄 화물이 영국과 두바이 공항에서 각각 적발되는 등 화물감시에 문제점을 드러낸 가운데 나온 지적이어서 주목된다.
안보문제를 연구하는 워싱턴 소재 국가정책연구소(CNP) 스티븐 플린 소장도 "해당 시스템은 매우 취약하다"면서 "국제경제에 대규모 타격을 가하려 한다면 이런 시스템은 공격 대상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미국행 핵무기 운반 화물 컨테이너를 확인하기 위해 미 정부의 예산으로 한국 부산항에 설치된 고가의 스캐너 역시 방사능 노출을 우려한 화물트럭 운전자들의 통과 기피로 2년째 낮잠을 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이곳에서만 약 190만대의 컨테이너가 사실상 검사절차를 거치지 않고 미국항구로 떠났을 것이라는 관측이 가능한 셈이다.
특히 싱가포르와 홍콩 역시 비협조로 일관하고 있어 핵무기 적발을 위한 작업이 유명무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모든 컨테이너를 조사 대상으로 하려는 미 정부의 방침은 또 월마트와 애플, 나이크 등을 대변하는 소매업대표협회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의회 일각에서는 국토안보부가 설정한 '2012년'의 무용론을 내세우며 이미 대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패티 머레이 민주당 상원의원과 수전 콜린스 공화당 상원 의원은 대신 고위험 화물 컨테이너에 대해 미국 세관 등이 집중 조사하는 형태의 "단계별 보안접근"을 지지하는 법안을 마련, 이미 지난 2006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상태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