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청와대는 이르면 이번 주 중 단행할 군 장성 인사에서 합참의장과 육·해·공 3군 참모총장 등 대장급 보직 일부를 포함해 70~80명의 지휘관을 교체키로 방침을 정하고 대령 이상 승진 대상자 600여명에 대한 인사검증을 모두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인사는 천안함·연평도 등 북한의 잇단 도발에 대한 초기대응 부실 지적에 따른 문책의 성격이 클 것이란 게 정부 내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김관진 신임 국방부 장관 임명장 수여식에서도 “그간 군이 다소 해이해져 온 측면이 있다”며 “남을 탓하기 전에 장군부터 확고한 정신력 확립이 필요하다. 분단된 나라의 장군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대통령은 “남북 대치상황에서 (군은) 일반 공무원식 인사를 해선 안 된다. 군내 특수전문직은 전문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군 인사평가제도의 재검토를 지시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하루 전 열린 대통령 자문 사회통합위원회 정기회의에서도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 등에 대해 우리가 어떤 자세로 갈 것인가엔 더 논의할 여지가 없다. 군은 군대로, 군다운 군대가 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 대통령 취임 뒤 군 인사는 전문성과 지휘권 보장 차원에서 청와대가 가급적 간여하지 않았으나, 연평도 도발 이후 부쩍 ‘군대다운 군’과 ‘위로부터의 정신력 확립’을 강조하는 횟수가 많아졌다”며 “이번 장성급 인사의 폭이 예상보다 클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 직속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도 오는 2020년까지 군 장성 수 10%(40여명) 감축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한 69개 국방개혁 과제를 마련, 6일 이 대통령에게 정식 보고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앞서 김 장관에게 “모든 것을 한꺼번에 개혁할 순 없지만 필요한 개혁, 시급한 개혁은 단호하게 해야 한다”며 “(국방개혁은) 내가 직접 챙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에게도 일일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보내 국방선진화 추진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국방부 장관 인사 청문절차를 조속히 마쳐준데 대한 감사의 뜻을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