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0/12/07/20101207000069_0.jpg)
미국은 GM, 일본은 도요타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국내의 국민차는 아반떼-쏘나타-그랜저로 이어지는 ‘현대자동차’다. 그렇다면 미국과 일본의 국민차는 뭘까.
일본은 8개의 자국브랜드가 있다. 그 중 1위는 지난해 국내에 진출한 ‘도요타’이다. 올 10월까지 세단 ‘렉서스’와 경차 ‘다이하츠’를 포함해 누적점유율이 50%를 달한다. 국내의 ‘현대차’와 비슷한 양상이다. 2~3위는 혼다와 닛산이 근소한 차이로 경쟁하고 있다. 마쓰다, 스바루, 스즈키, 미쓰비시 등익 각각 2~3%대를 차지하고 있다.
판매순위도 10위권 내 7개 모델이 토요타다. 특히 도요타의 ‘프리우스’는 리터당 29.2km라는 연비로 10위권 내 차량 중 유일하게 국내에서 정식 시판되고 있다. 판매순위 2위를 차지한 혼다의 ‘피트’ 역시 리터당 24km로 국산 경차보다 연비가 높다.
미국은 GM, 포드, 크라이슬러로 3개의 자국 브랜드가 있다. GM이 42%, 포드가 37%, 크라이슬러 21%의 시장점유율. 전체 판매량 4위는 일본차 브랜드 혼다와 도요타가 뒤를 잇고 있다.
포드의 픽업트럭인 ‘F시리즈’가 가장 많이 팔렸다. GM 시보레의 ‘실버라도’가 2위를 차지했다.
미국의 세단시장은 일본의 중형차가 섬렵했다. 1위는 토요타의 ‘캠리’고 혼다 ‘어코드’, 닛산 ‘알티마’가 뒤따랐다.
한편 한국과 일본은 점유율 편중이 심각하지만 미국은 고루 분포됐다. 중고차 사이트인 카즈의 따르면 현대차의 아반테 HD의 잔존가치는 71%, 토요타의 프리우스 1,5S는 59%의 감가율을 보이는 반면 GM 시보레의 경우 실버라도 1500의 감가율이 80%를 웃돌았다.
카즈 관계자는 “미국 시보레의 경우 최다 판매 모델이 낮은 감가율의 픽업트럭이라는 점이 작용했고, 도요타의 경우 최근 붉어진 브랜드의 신뢰성 문제가 시세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며 “특정 브랜드의 독점이 높은 사애에서 신차출시는 해당 라인업의 중고차 가치를 떨어뜨리기 마련이다. 아반떼와 프리우스 모두 풀체인지를 거친 후속모델을 선보였다는 것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