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미래발전 전략에는 ▲최고(最高)의 통관서비스 ▲최선(最善)의 기업심사 ▲최강(最强)의 조사단속 ▲최적(最適)의 인프라 구축 등 4대 분야의 30개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주요 추진과제를 보면, ‘FTA 집행센터’(3과 52명)를 설치해 오는 7월1일 발효예정인 한-EU, 한-미 FTA의 원산지 인증·검증업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기발효된 한-ASEAN FTA, 한-인도 CEPA 활용도 제고에 총력지원할 계획이다.
또 고질적 탈세·국민건강직결 품목 등 10대 고위험분야를 집중관리하고, 수입액 상위 200대 기업에 대한 법인심사를 실시하는 한편 AEO업체에 대한 컨설팅 방식의 종합심사 표준모델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역외탈세 조사전문가 채용 및 관련조직 확대·개편 등을 통해 금융조사 역량을 강화하고, 관계기관간 ‘역외금융협의체’를 구성, 기업의 자금세탁 및 재산도피에 적극 대처하는 등 금융조사 선도세관으로서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도 세관은 서울·북경·동경세관간 정보교류·업무협력 MOU 체결을 통한 세관직원 교환 프로그램를 실시하는 한편 최고 책임자간 연례회의를 개최하는 등 한·중·일 수도세관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천홍욱 세관장은 “서울세관은 앞으로 관련 법령개정·예산확보 등을 위해 국내 관계기관 및 외국 관세당국과 협의를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신규 과제도 적극적으로 발굴·추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