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총재 "상반기물가 3.7% 넘어설 것"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올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초 한은의 전망치인 3.7%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김 총재는 10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 회의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이 올해 물가상승률을 전망하면서 상반기에는 3.7%, 하반기에는 3.3%로 예상했으나 현재 상황은 당초보다 상반기 여건이 좀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는 당분간 물가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그에 발맞춘 통화정책을 펼칠 방침임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날 한은 금통위도 '3월 통화정책 방향'에서 "통화정책은 국내외 금융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물가 안정기조가 확고히 유지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운영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금통위는 이달 통화정책 방향에서 '중점'이라는 표현을 추가해 물가안정에 대한 중앙은행의 의지를 부각했다.

다만 김 총재는 올 하반기 물가는 현재보다는 다소 진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부채에 압박을 줄 것이란 우려에 대해 김 총재는 "현재 가계부채는 고소득층이 많이 지고 있는데다 금리를 0.25%포인트 올린다 해도 소득 대비 11%가량의 이자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비용이 0.2∼0.3%포인트 정도만 오르기 때문에 가계부채에 큰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경제성장률에 언급, “4%대 중반을 예상하고 있다”면서 “중동 및 북아프리카 사태, 구제역 등 경제성장을 느리게 할 요인은 있으나 미국의 경기 회복 등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총재는 “미국과 유럽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훨씬 좋아지고 있다”면서 “미국의 성장률을 2.3%로 예상했지만, 지금은 3%가 훨씬 넘을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성장은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쳐 우리 경제도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 매번 뒤늦은 결정아니냐‘는 실기 논란에 대해 “현 상황에서 실기 주장은 큰 설득력이 없으며, 0.25%포인트나마 계속 꾸준하게 관리한다면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기대심리도 이에 맞춰 조정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