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일부가 전입희망자를 공모한 결과 약 18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10일 통일부 관계자는 “지난달 조직개편으로 정원이 늘어남에 따라 다른 부처 7급 직원을 대상으로 전입희망자 3명을 모집했는데 모두 55명이 지원했다”고 전했다.
현 정부 들어 경색된 남북관계 탓에 업무가 전체적으로 소강상태에 있어 통일부는 젊은 공무원에게 비인기 부서로 통했다.
지난해 천안함 사건에 따른 대북제재인 ‘5.24조치’로 인해 민간교류마저 최소한으로 유지되고 있다.
여기에 정권 출범 초기 폐지 논란에 이어 조직 축소 등을 거쳤다.
남북관계가 여전히 답보상태에 있는 가운데 이 같은 통일부의 갑작스런 인기는 '세종시 효과'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내년부터 16개 중앙행정기관과 20개 직속기관은 세종시로 이전해야 한다. 통일부와 외교통상부, 국방부 등 6개 부처만이 서울에 잔류한다.
‘서울살이’를 고집하는 공무원들이 통일부로 옮기고 싶어한다는 것.
통일부 관계자는 “통일부가 세종시 이전대상 목록에서 빠진 것이 지원자들에게 적지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젊은 직원들을 중심으로 서울에 머무르려는 경향이 큰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공모 지원자들의 부처는 고용노동부와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교육과 배우자의 직장문제에 대한 부담이 큰 여성 지원자가 36명이었다. 남성 19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