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의 발단은 지난 10일 한은 금융시장국이‘2011년 5월 금융시장 동향’을 발표하며 5월 중 저축은행 수신 잔액을 누락한 것.
프라임 저축은행의 뱅크런 사태 직후 민감한 정보인 저축은행 수신잔액의 기록을 누락한 한은 측은 당초 자료를 제공하던 저축은행 중앙회가 자료공개를 고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저축은행 중앙회 측은 관련 자료는 이미 5월 말 한은 측에 전달했으며 자료공개의 고사여부는 전혀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중앙회 관계자는 백방으로 수소문했지만, 그같은 청탁을 한 직원이나 간부는 찾아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은과 저축은행 중앙회 양측 중 한 곳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이에 대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했던 민주당의 이성남 의원은 “저축은행에서 이렇게 금방 탄로날 일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며 저축은행 중앙회에 비해 ’갑‘의 입장에 있는 한은이 이같은 비판의 위험을 감수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 수신잔액 명기가 재량사항이라고 해도 지금까지 빼놓지 않고 명시하다가 민감한 시기에 누락한 것은 다분히 고의성이 짙다는 언급이다.
하지만 저축은행 중앙회 쪽의 입장도 뚜렷치 않다. 당초 한은측 담당자와 진위여부를 가리겠다는 중앙회 측 관계자는 관련보도가 나간지 하루가 지났음에도 아무런 답신이 없는 상태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이같은 요구를 ’을‘인 중앙회가 했을리가 없고, 그렇다고 들어줄 한은이 아니다”고 전제하며 “금융위나 보다 높은 상부조직의 지시가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전 교수는 “저축은행 수신잔액의 은폐 요구 여부를 떠나, 비난의 화살은 한은에 있다”고 지적했다.
재량권이 있다고 하나 이같은 자료를 함부로 누락한 것은 금융통계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할 짓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전 교수는 “지금의 저축은행 뱅크런이 생기는 것은 금융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전제할 때 설혹 어떤 압력이 있었더라도 한은은 강력히 대응해 이를 기록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